SASA Math
  • Introduction
  • Recent Articles
  • Topic Index
  • Tag Cloud
  • Links

질문/답변 글을 바르게 작성하는 방법

by I Seul Bee

질문 글을 바르게 작성하는 방법

1. 제목을 정성껏 씁니다.

제목은 질문 내용을 짐작할 수 있게 작성합니다. 제목을 쓰지 않고 내용만 쓰는 게시판의 경우 글 시작 부분에 이와 같은 내용을 넣으면 좋습니다.

BAD“수학 질문입니다.”
“연습문제 질문입니다.”
GOOD“고등학교 수학 미적분의 기본정리 질문입니다.”
“베르누이 부등식 증명 관련 질문입니다.”

여기서부터 질문 내용 작성 방법 설명입니다.

2. 질문자가 누구인지 밝힙니다.

개인정보를 밝히라는 뜻이 아닙니다. 자신이 어느 과정에 있는지, 자신의 수준은 어떤지 밝힙니다. 그래야 답하는 사람이 질문자의 실력을 고려하여 알맞은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BAD

“고등학교 학생입니다.”

“대학 수학 공부중입니다.”

GOOD

“고등학교 2학년 미적분 선택과목 공부중입니다.”

“대학생은 아니지만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미적분학 책을 혼자 보고 있습니다.”

“대수학 한 학기 공부하고 두 번째 학기인데 진도가 빨라서 벌써 체론 들어갔습니다.”

“수학과 편입하고 해석학, 정수론 한 학기 듣고 대수학 듣는데 어렵네요. 대수학 I 수강 안 했어요ㅜㅜ”

3. 질문하게 된 과정을 밝힙니다.

어느 과목의 어느 부분을 공부하다가 궁금하게 된 내용인지, 또는 어떤 책을 보다가 궁금하게 되었는지 밝힙니다. 책은 지은이 뿐만 아니라 제목과 판 수도 밝힙니다. 웹사이트의 게시글을 보던 중이라면 해당 웹사이트의 URL을 기입합니다.

BAD

“루딘 120쪽 절대연속 질문입니다.”

“연속함수의 적분가능성이 궁금합니다.”

“극한 과제인데 모르겠습니다.”

GOOD

“루딘 RCA 3판 정의 6.7 관련 질문입니다.”

“고등학교 미적분학 교과서에 연속함수는 적분 가능하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 증명을 직접 해보려고 합니다. …까지 해보았는데, 그 다음에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이 극한이 수렴하는지 밝히는 과제입니다. 단조수렴 정리를 이용할 것 같은데 단조임을 어떻게 보여야 할까요. 유계성은 증명했습니다.”

4. 맥락을 기술합니다.

궁금해하는 내용만 쓰지 말고 앞뒤 맥락을 알 수 있는 내용도 써야 합니다.

BAD

“(사진 한 장 첨부한 후) 이거 어떻게 풀어요?”

“베르누이 부등식에 등호 들어가면 안 되나요?”

GOOD

“(문제 사진과 자신의 미완성 풀이를 함께 첨부한 후) 이 문제를 여기까지 풀어봤습니다. 그 다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베르누이 부등식 … 을 증명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 책의 문제의 조건에서는 n의 조건이 … 라고 해서 등호가 빠져 있네요. 여기에 등호가 들어가면 안 되나요?”

5. 그 밖에 염두에 둘 것

  • 궁금한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씁니다.
  • 답변하는 사람이 자신과 같은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안 됩니다. 답변하는 사람은 질문자의 머릿속에 들어와 질문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질문자가 작성한 글만 보고 판단한다는 사실을 생각해야 합니다.
  • 완전한 풀이를 알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생각한 부분까지 씁니다.
  • 질문하면서 부끄럽다고 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모르는 부분은 모른다고 말해야 합니다. 수강해야 하는데 하지 않은 과목이 있으면 밝힙니다.
  • 하나의 질문 게시글에 너무 많은 수의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
  • 적절한 답변, 도움이 된 답변을 받았다면 감사인사를 남깁니다.

답변 글을 바르게 작성하는 방법

  • 아무리 쉽고 당연한 것을 질문한 글이더라도 질문자는 고민한 끝에 용기를 내어 질문한 것임을 생각하여 답변합니다.
  • 완전한 풀이를 알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생각한 부분까지 써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답변이 틀릴 것을 두려워하지 맙시다. 자신의 답이 틀린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더라도 글을 삭제하지 않습니다. 글을 삭제하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스스로 댓글을 적는 것이 더 멋있습니다. 틀린 답변은 비슷한 생각을 하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틀린 답을 했다고 비난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 질문자의 상황과 수준에 맞는 답을 하도록 노력합니다.
  • 성실하게 답할 수록 자신도 나중에 성실한 답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합시다.
  • 긴 답변을 첨부파일로 답변할 때에는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라고만 쓰지 말고 간단하게 아이디어를 적어주면 좋습니다.

질문 글/답변 글 공통사항

  • 수식은 모호하지 않게 작성합니다. 예컨대 “x/ab”는 “x/(ab)” 또는 “(x/a)b”라고 써야 합니다.
  • 주관적으로 판단해야하는 문제는 고집을 부리지 않습니다. 예컨대 어떤 방법이 좋은 공부 방법인가와 같은 문제는 각자의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의 풀이에서 오류를 발견했을 때는 정중하게 그 내용을 언급합니다.
  • 다른 사람이 내 풀이의 오류를 찾아주었을 때, 그것을 공격받았다고 생각하지 맙시다. 누군가 자신의 글을 꼼꼼하게 읽어주었다는 것은 귀한 선물을 받은 것입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사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질문 글이나 답변 글이 이 포스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따르지 않았다고 해서 비판하거나 비난하지 맙시다. 나부터 잘 하면 됩니다♡

  • 작성자: 이슬비 | iseulbee.com | designeralice@daum.net
  • 최종 수정한 날짜: 2021년 9월 12일
  • 이 글을 다른 곳에 스크랩하거나 복제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URI 링크만 허용합니다.)

Search

Categories

  • Abstract Algebra (3)
  • Analytic Geometry (1)
  • Applied Activity (1)
  • Basic Mathematics (6)
  • Calculus (49)
  • Classical Geometry (1)
  • Complex Analysis (2)
  • Differential Equation (1)
  • Differential Geometry (1)
  • Functional Analysis (2)
  • General Topology (2)
  • Linear Algebra (32)
  • Mathematical Analysis (3)
  • Probability & Statistics (1)
  • Real Analysis (1)
  • Sets and Logic (3)

Statistics

  • 132
  • 156
  • 1,674
  • 7,039
  • 267,547

Sejong Academy of Science and Arts

  • Introduction
  • Recent Articles
  • Topic Index
  • Tag Cloud
  •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