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에서는 직사각형 영역에서 정의된 함수의 이중적분을 정의하고, 연속함수의 적분 가능성을 증명합니다. 리만 적분의 엄밀한 정의가 기억나지 않는다면 일변수 함수의 리만 적분을 소개하는 이전 글(바로가기)을 먼저 읽어 보기 바랍니다. 리만 적분의 정의 먼저 이중적분을 정의하자. \(I = [a,\,b]\)와 \(J = [c,\,d]\)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R = I \times J\)라고 하자. 그리고 \[\begin{gather} P_I = \left\{ x_0 ,\, x_1 ,\, x_2 ,\, \cdots ,\, x_m …
Tag:
다르부 적분
함수 \(f\)가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임의의 \(x\in[a,\,b]\)에 대하여 \(f(x) > 0\)일 때, \(x\)축과 \(y=f(x)\)의 그래프, 그리고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a,\,b]\)에서 \(f\)의 정적분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정의는 직관적인 정의이며 연속함수에 대해서만 정의되므로 대단히 협소하다. 이 포스트에서는 리만 적분을 엄밀하게 정의하고, 적분 가능성과 정적분의 성질을 살펴본다. 구분구적법 \(I = [a,\,b]\)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함수 \(f\)가 \([a,\,b]\)에서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리고 자연수 \(n\)에 대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