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미적분학 첫걸음』 2장 2절의 내용입니다. (미적분학 첫걸음 차례 보기)
실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일 때, 무한급수 \[\sum_{n=1}^{\infty}a_n\] 을 양항급수(series of nonnegative terms)라고 부른다.
유계 판정법
실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S_n = \sum_{k=1}^{n} a_k\] 이라고 하자. 그러면 \[S_{n+1} = S_n + a_{n+1} \ge S_n\] 이므로, 부분합 \(\left\{ S_n \right\}\)은 단조증가하는 수열이다. 만약 \(\left\{ S_n \right\}\)이 유계이면 단조수렴정리에 의하여 \(n\rightarrow\infty\)일 때 \(\left\{ S_n \right\}\)이 수렴한다. 만약 \(\left\{ S_n \right\}\)이 유계가 아니라면 \(n\rightarrow\infty\)일 때 \(\left\{ S_n \right\}\)이 양의 무한대에 발산한다.
그러므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1. (유계 판정법, Boundedness Test)
실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이때 무한급수 \[\sum_{n=1}^{\infty} a_n\] 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부분합 수열 \(\left\{ S_n \right\}\)이 유계인 것이다.
예제 2.2.1. 다음 무한급수의 수렴, 발산 여부를 판정하시오.
\(\displaystyle (1) \,\sum_{n=1}^{\infty} \frac{1}{n^2} \)
\(\displaystyle (2) \,\sum_{n=0}^{\infty} \frac{1}{n!} \)
\(\displaystyle (3) \,\sum_{n=1}^{\infty} \frac{1}{n} \)
풀이.
(1) \(n\)이 \(2\) 이상인 자연수일 때 \[\begin{align} \frac{1}{2^2} &+ \frac{1}{3^2} + \frac{1}{4^2} + \cdots + \frac{1}{n^2} \\[5pt] &\le \frac{1}{1\times 2} + \frac{1}{2\times 3} + \frac{1}{3\times 4} + \cdots + \frac{1}{(n-1)n} \\[5pt] &= \left( \frac{1}{1} - \frac{1}{2} \right) + \left( \frac{1}{2} - \frac{1}{3} \right) + \left( \frac{1}{3} - \frac{1}{4} \right) + \cdots + \left( \frac{1}{n-1} - \frac{1}{n} \right) \\[5pt] &= 1-\frac{1}{n} \end{align}\] 이므로 \[S_n = \sum_{k=1}^n \frac{1}{k^2} \le 1+1 - \frac{1}{n} \le 2\] 이다. 즉 부분합 수열 \(\left\{ S_n \right\}\)이 유계이다.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므로, 유계 판정법에 의하여 문제에서 주어진 무한급수가 수렴한다.
(2) \(n\)이 자연수일 때 \[\frac{1}{0!} + \frac{1}{1!} + \frac{1}{2!} + \frac{1}{3!} + \cdots + \frac{1}{n!} \le \frac{1}{1} + \frac{1}{1} + \frac{1}{2} + \frac{1}{2^2} + \cdots + \frac{1}{2^{n-1}} \le 3\] 이므로 \[S_n = \sum_{k=0}^n \frac{1}{k!} \le 3\] 이다. 즉 부분합 수열 \(\left\{ S_n \right\}\)이 유계이다.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므로, 유계 판정법에 의하여 문제에서 주어진 무한급수가 수렴한다.
(3) \(m\)이 자연수이고 \(n=2^m\)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begin{align} S_{2^m} &= \frac{1}{1} + \frac{1}{2} + \left( \frac{1}{3} + \frac{1}{4} \right) + \left( \frac{1}{5} + \frac{1}{6} + \frac{1}{7} + \frac{1}{8} \right) + \cdots + \left( \frac{1}{2^{m-1}+1} + \frac{1}{2^{m-1}+2} + \cdots + \frac{1}{2^m} \right) \\[5pt] &\ge \frac{1}{1} + \frac{1}{2} + \left( \frac{1}{4} + \frac{1}{4} \right) + \left( \frac{1}{8} + \frac{1}{8} + \frac{1}{8} + \frac{1}{8} \right) + \cdots + \left( \frac{1}{2^m} + \frac{1}{2^m} + \cdots + \frac{1}{2^m} \right) \\[5pt] &= \frac{1}{1} + \frac{1}{2} + \frac{1}{2} + \frac{1}{2} + \cdots + \frac{1}{2} \\[5pt] &= \frac{1}{1} + \frac{1}{2} \times m = 1 + \frac{m}{2}. \end{align}\] 여기서 \(m\)이 임의의 자연수이므로, 부분합 \(S_n\)이 위로 유계가 아니다.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므로, 유계 판정법에 의하여 문제에서 주어진 무한급수가 발산한다.
자연상수
예제 2.2.1의 (2)에서 살펴본 무한급수 \[\sum_{n=0}^{\infty} \frac{1}{n!}\] 의 값이 무리수임이 알려져 있다. 이 값을 자연상수(natural constant) 또는 오일러 상수(Euler's constant)라고 부르며, 주로 \(\boldsymbol{e}\)로 나타낸다. [‘오일러 상수’라는 이름은 \(\gamma\)로 나타내는 또 다른 상수가 있으므로, 이 책에서는 ‘자연상수’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로 한다.] 오일러 상수의 근삿값은 다음과 같다. \[e = 2.718281828459045 \cdots\] 자연상수를 다른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e_n = \left( 1+ \frac{1}{n} \right)^n\] 이라고 하자. 베르누이 부등식에 의하여, \(n > 2\)이고 \(x > -1\)일 때 \[(1+x)^n > 1+nx\] 이므로, 이 식에 \(x = - 1/n^2\)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left( 1- \frac{1}{n^2} \right)^n > 1- \frac{1}{n}\] 좌변의 괄호 안의 식을 인수분해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left( 1+ \frac{1}{n} \right)^n \left( 1- \frac{1}{n} \right)^n > 1 - \frac{1}{n} \] 양변을 \(\left( 1- \frac{1}{n}\right)^n\)으로 나누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left( 1 + \frac{1}{n} \right)^n > \left( 1+ \frac{1}{n-1}\right)^{n-1}\] 이 부등식은 \(e_n > e_{n-1}\)을 뜻한다. 그러므로 \(\left\{e_n\right\}\)은 증가수열이다. 또한 \[\begin{align} \left( \frac{1}{n} +1 \right)^n &= \sum_{k=0}^n \binom{n}{k} \frac{1}{n^k} \\[5pt] &= \sum_{k=0}^n \left( \frac{n!}{k! (n-k)!} \times \frac{1}{n^k} \right) \\[5pt] &= \sum_{k=0}^n \left\{ \frac{1}{k!} \times \frac{n!}{(n-k)! n^k} \right\} \\[5pt] &\le \sum_{k=0}^n \frac{1}{k!} \\[5pt] &= 1 + 1 + \frac{1}{2!} + \frac{1}{3!} + \frac{1}{4!} + \cdots + \frac{1}{n!} \\[5pt] &\le \sum_{k=0}^\infty \frac{1}{k!} = e \end{align}\] 이므로 \(\left\{ e_n \right\}\)은 \(e\)에 의하여 위로 유계이다. 그러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left\{ e_n \right\}\)이 수렴한다.
이제 \(\left\{ e_n \right\}\)의 극한이 \(e\)임을 보이자. \(n\)과 \(m\)이 양의 정수이고 \(n\ge m\)이라고 하자. 이항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begin{align} \left( 1+ \frac{1}{n} \right)^n &= 1 + 1 + \frac{1}{2!}\left(1-\frac{1}{n}\right) + \frac{1}{3!}\left( 1- \frac{1}{n} \right) \left( 1- \frac{2}{n} \right) + \cdots + \frac{1}{n!}\left( 1- \frac{1}{n} \right) \cdots \left( 1- \frac{n-1}{n}\right) \\[5pt] &\ge 1 + 1 + \frac{1}{2!}\left( 1- \frac{1}{n}\right) + \cdots + \frac{1}{m!}\left(1-\frac{1}{n} \right) \cdots \left( 1- \frac{m-1}{n}\right). \end{align}\] 이 부등식의 양변에 \(n\rightarrow\infty\)인 극한을 취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lim_{n\rightarrow\infty}e_n \ge 1 + 1 + \frac{1}{2!} + \frac{1}{3!} + \cdots + \frac{1}{m!}.\] 이 부등식의 양변에 \(m\rightarrow\infty\)인 극한을 취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lim_{n\rightarrow\infty}e_n \ge e.\] 그련데 \(\left\{ e_n \right\}\)이 \(e\)에 의하여 위로 유계이므로, 다음 결과를 얻는다. \[\lim_{n\rightarrow\infty}e_n = e.\]
자연상수 \[\lim_{n\rightarrow\infty}\left( 1 + \frac{1}{n} \right)^n = \sum_{n=0}^{\infty} \frac{1}{n!} = e\]
비교 판정법
\(\left\{a_n\right\}\)과 \(\left\{b_n\right\}\)이 음이 아닌 항으로 이루어진 수열이고, 유한 개의 \(n\)을 제외한 모든 \(n\)에 대하여 \(a_n \le b_n\)이 성립한다고 하자. 즉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 \ge N\)이면 \(a_n \le b_n\)]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러면 \(n \ge N\)일 때 \[\sum_{k=N}^n a_k \le \sum_{k=N}^n b_k\] 가 성립한다. 만약 무한급수 \(\sum_{n-1}^\infty b_n\)이 수렴한다면 위 부등식의 우변이 유계이므로, \(n\rightarrow\infty\)일 때 부등식의 좌변이 수렴한다.
그러므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2. (비교 판정법, Direct Comparison Test)
\(\left\{a_n\right\}\)과 \(\left\{b_n\right\}\)이 음이 아닌 항으로 이루어진 수열이고, 유한 개의 \(n\)을 제외한 모든 \(n\)에 대하여 \(a_n \le b_n\)이 성립한다고 하자.
- 만약 \(\sum_{n=1}^{\infty} b_n\)이 수렴하면 \(\sum_{n=1}^\infty a_n\)도 수렴한다.
- 만약 \(\sum_{n=1}^{\infty} a_n\)이 발산하면 \(\sum_{n=1}^\infty b_n\)도 발산한다.
예제 2.2.2. 예제 2.2.1-(2)에 의하여 무한급수 \(\sum_{n=1}^{\infty} \frac{1}{n!}\)이 수렴한다. \(p \ge 2\)일 때 \[0\le \frac{1}{n^p} \le \frac{1}{n^2}\] 이므로,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무한급수 \(\sum_{n=1}^{\infty} \frac{1}{n^p}\)이 수렴한다.
예제 2.2.3. 예제 2.2.1-(3)에서 무한급수 \(\sum_{n=1}^{\infty} \frac{1}{n}\)이 발산함을 밝혔다. 그런데 \[\frac{1}{n} \le \frac{1}{\sqrt{n}}\] 이므로 무한급수 \(\sum_{n=1}^{\infty} \frac{1}{\sqrt{n}}\)이 발산한다.
극한 비교 판정법
수열 \(\left\{a_n\right\}\)과 \(\left\{b_n\right\}\)의 모든 항이 양수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frac{b_n}{a_n} = \rho\] 이며, \(\rho\)가 양수인 상수라고 하자. \(\rho +1\)이 \(\rho\)보다 큰 실수이므로,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n\)에 대하여 \[\frac{b_n}{a_n} \le \rho +1\] 이 성립한다. 즉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ge N\)일 때 \[\frac{b_n}{a_n} \le \rho +1\] 이 성립한다. 양변에 \(\rho +1\)을 곱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b_n \le (\rho +1)a_n .\] 만약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면, 위 부등식에 의하여 \(\sum_{n=1}^{\infty}b_n\)도 수렴한다. 한편 \[\lim_{n\rightarrow\infty} \frac{a_n}{b_n} = \frac{1}{\rho}\] 또한 양수인 상수이므로, 만약 \(\sum_{n=1}^{\infty} b_n\)이 수렴한다면 앞에서와 같은 논증에 의하여 \(\sum_{n=1}^{\infty} a_n\)도 수렴한다.
그러므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3. (극한 비교 판정법, Limit Comparison Test)
수열 \(\left\{a_n\right\}\)과 \(\left\{b_n\right\}\)의 모든 항이 양수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frac{b_n}{a_n} = \rho\] 이며, \(\rho\)가 양수인 상수라고 하자. 그러면 무한급수 \(\sum_{n=1}^{\infty} a_n\)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무한급수 \(\sum_{n=1}^{\infty} b_n\)이 수렴하는 것이다.
예제 2.2.4. 다음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해 보자. \[\sum_{n=1}^{\infty} \frac{4n^2 - n +3}{n^3 +2n}.\] 분모의 차수가 분자의 차수보다 \(1\) 크다는 사실에 주목하자. \[a_n = \frac{4n^2 - n+3}{n^3 +2n} ,\quad b_n = \frac{1}{n}\] 이라고 하자. 그러면 \(a_n > 0,\) \(b_n > 0\)이고, \[\frac{a_n}{b_n} = \frac{4n^3 -n^2 +3n}{n^3 +2n} \,\, \rightarrow \,\, 4 \quad \text{ as } \quad n\rightarrow\infty\] 이다. 그런데 무한급수 \(\sum_{n=1}^{\infty}\frac{1}{n}\)이 발산하므로 \(\sum_{n=1}^{\infty} \frac{4n^2 - n +3}{n^3 +2n}\)도 발산한다.
비 판정법
비교 판정법이나 극한 비교 판정법을 사용하여 주어진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할 때는 수렴 여부가 알려진 다른 무한급수가 필요했다. 하지만 수렴 여부가 알려진 다른 무한급수가 필요하지 않은 판정법이 있다. 비 판정법과 제곱근 판정법이 그와 같은 판정법이다.
수열 \(\left\{a_n\right\}\)의 모든 항이 양수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frac{a_{n+1}}{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이제 \(\rho\)가 \(1\)보다 작은 경우와 \(1\)보다 큰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자.
먼저 \(\rho < 1\)인 경우를 살펴보자. \(\rho < r < 1\)인 실수 \(r\)를 택하자. \(n\rightarrow\infty\)일 때 \(a_{n+1}/a_n\)이 \(\rho\)에 수렴하고 \(r > \rho\)이므로,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하여 \[\frac{a_{n+1}}{a_n} \le r\] 가 성립한다. 즉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ge N\)일 때 \[\frac{a_{n+1}}{a_n} \le r\] 가 성립한다. 양변에 \(a_n\)을 곱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a_{n+1} \le ra_n .\] 여기서 \(n\)을 \(N,\) \(N+1,\) \(N+2,\) \(\cdots\)으로 바꾸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begin{align} a_{N+1} &\le ra_N ,\\[5pt] a_{N+2} &\le ra_{N+1} \le r^2 a_N , \\[5pt] a_{N+3} &\le ra_{N+2} \le r^3 a_N , \\[5pt] &\,\,\vdots \\[5pt] a_{N+k} &\le ra_{N+k-1} \le r^k a_N . \end{align}\] 그런데 \(0 < r < 1\)이므로 \(\sum_{k=1}^{\infty} r^k a_N\)이 수렴한다. 또한 \[\begin{align} S_{N+k} &= a_1 + a_2 + \cdots + a_{N+k} \\[5pt] &= a_1 + a_2 + \cdots + a_N + ( a_{N+1} + a_{N+2} + \cdots + a_{N+k}) \\[5pt] &\le a_1 + a_2 + \cdots + a_N + (ra_N + r^2 a_N + \cdots + r^k a_N ) \\[5pt] &\le a_1 + a_2 + \cdots + a_N + \sum_{k=1}^\infty r^k a_N . \end{align}\] 그러므로 \(\left\{ S_n \right\}\)이 유계이며,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
다음으로 \(\rho > 1\)인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는 \(\left\{ a_n \right\}\)이 \(0\)에 수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um_{n=1}^{\infty} a_n\)이 발산한다.
이로써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4. (비 판정법, Ratio Test)
수열 \(\left\{a_n\right\}\)의 모든 항이 양수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frac{a_{n+1}}{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발산한다.
- 만약 \(\rho = 1\)이면 이 판정법으로 \(\sum_{n=1}^{\infty} a_n\)의 수렴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
예제 2.2.5. \(x > 0\)일 때 다음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해 보자. \[\sum_{n=1}^{\infty} \frac{x^n}{n!}.\] \(a_n = \frac{x^n}{n!}\)이라고 하자. 그러면 \[\lim_{n\rightarrow\infty} \frac{a_{n+1}}{a_n} = \lim_{n\rightarrow\infty}\frac{x}{n+1} = 0 < 1\] 이다. 그러므로 \(\sum_{n=1}^{\infty} \frac{x^n}{n!}\)이 수렴한다.
예제 2.2.6. 다음 두 무한급수를 살펴보자. \[\sum_{n=1}^{\infty} \frac{1}{n} , \quad \sum_{n=1}^{\infty} \frac{1}{n^2} .\] 예제 2.2.1에서 첫째 무한급수가 발산하고 둘째 무한급수가 수렴함을 밝혔다.
\(a_n = \frac{1}{n} ,\) \(b_n = \frac{1}{n^2}\)이라고 하면 \[\lim_{n\rightarrow\infty} \frac{a_{n+1}}{a_n} = 1 ,\quad \lim_{n\rightarrow\infty} \frac{b_{n+1}}{b_n} = 1\] 이다. 그러므로 비 판정법에서 \(\rho=1\)일 때 주어진 무한급수는 수렴할 수도 있고 발산할 수도 있다.
제곱근 판정법
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sqrt[n]{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이제 \(\rho\)가 \(1\)보다 작은 경우와 \(1\)보다 큰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자.
먼저 \(\rho < 1\)인 경우를 살펴보자. \(\rho < r < 1\)인 실수 \(r\)를 택하자. \(n\rightarrow\infty\)일 때 \(\sqrt[n]{a_n}\)이 \(\rho\)에 수렴하고 \(r < \rho\)이므로,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ge N\)일 때 \[\sqrt[n]{a_n} \le r\] 즉 \[a_n \le r^n\] 이 성립한다. 여기서 \(n\)을 \(N,\) \(N+1,\) \(N+2,\) \(\cdots\)으로 바꾸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begin{align} a_N &\le r^N ,\\[5pt] a_{N+1} &\le r^{N+1} ,\\[5pt] a_{N+2} &\le r^{N+2} ,\\[5pt] &\,\,\vdots \\[5pt] a_{N+k} &\le r^{N+k}. \end{align}\] 그런데 \(0 < r < 1\)이므로 \(\sum_{k=0}^{\infty} r^{N+k}\)이 수렴한다. 또한 \[\begin{align} S_{N+k} &= a_1 + a_2 + \cdots + a_{N-1} + (a_N + a_{N+1} + \cdots + a_{N+k}) \\[5pt] &\le a_1 + a_2 + \cdots + a_{N-1} + r^N + r^{N+1} +\cdots + r^{N+k} \\[5pt] &\le a_1 + a_2 + \cdots + a_{N-1} + \sum_{k=0}^{\infty} r^{N+k} \end{align}\] 이다. 그러므로 \(\left\{ S_n \right\}\)이 유계이며,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다음으로 \(\rho > 1\)인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는 \(\left\{ a_n \right\}\)이 \(0\)에 수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um_{n=1}^{\infty} a_n\)이 발산한다.
이로써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5. (제곱근 판정법, Root Test)
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sqrt[n]{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발산한다.
- 만약 \(\rho = 1\)이면 이 판정법으로 \(\sum_{n=1}^{\infty} a_n\)의 수렴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
예제 2.2.7. \(x\ge 0\)일 때, 다음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해 보자. \[ 1 + 2x + x^2 + 2x^3 + x^4 + 2x^5 + \cdots . \] 만약 \(x=0\)이면 문제의 무한급수가 당연히 수렴한다. 그러므로 \(x > 0\)인 경우를 조사하자.
주어진 무한급수의 \(n\)째 항을 \(a_n\)이라고 하자. 분수식 \[\frac{a_{n+1}}{a_n}\] 의 값이 \(2x\)와 \(\frac{1}{2} x\)가 번갈아 나타나기 때문에 비 판정법을 사용할 수 없다. 대신 제곱근 판정법을 사용하자. \(n\)이 홀수일 때 \[\sqrt[n]{a_n} = \sqrt[n]{2x^n} = \sqrt[n]{2}x\] 이고, \(n\)이 짝수일 때 \[\sqrt[n]{a_n} = \sqrt[n]{x^n} = x\] 이다. 그러므로 \[\lim_{n\rightarrow\infty} \sqrt[n]{x_n} = x\] 이다. 따라서 제곱근 판정법에 의하여 \(x < 1\)일 때 무한급수가 수렴하고 \(x > 1\)일 때 무한급수가 발산한다. \(x=1\)일 때는 무한급수의 항이 \(0\)에 수렴하지 않으므로 무한급수가 발산한다.
참고. 제곱근 판정법으로 수렴 여부가 판정되지 않는 무한급수가 있다. 예컨대 \[\sum_{n=1}^{\infty} \frac{1}{n}\] 을 살펴보자. \[\lim_{n\rightarrow\infty} \sqrt[n]{\frac{1}{n}} = 1\] 이므로 이 무한급수는 제곱근 판정법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무한급수 \(\sum_{n=1}^{\infty} 1\)은 제곱근 판정법으로 판정되지 않는 더 간단한 예이다.
코시의 응집 판정법
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left\{ a_n \right\}\)이 단조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고 하자. 이제 두 무한급수 \[\sum_{n=1}^{\infty} a_n , \quad \sum_{k=1}^{\infty} 2^k a_{2^k}\] 의 관계를 밝히자.
무한급수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begin{align} a_1 + \frac{1}{2} \sum_{k=1}^n 2^k a_{2^k} &= a_1 + a_2 + 2a_4 + 4a_8 + \cdots + 2^{n-1} a_{2^n} \\[5pt] &\le a_1 + a_2 + a_3 + \cdots + a_{2^{n-1}+1} + \cdots + a_{2^n -1} + a_{2^n} \\[5pt] &\le \sum_{k=1}^{\infty} a_k \end{align}\] 이므로 \(\sum_{k=1}^{\infty} 2^k a_{2^k}\)이 수렴한다.
역으로, \(\sum_{k=1}^{\infty} 2^k a_{2^k}\)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begin{align} \sum_{k=1}^n a_k &= a_1 + a_2 + a_3 + \cdots + a_n \\[5pt] &\le a_1 + (a_2 + a_3 ) + (a_4 + a_5 + a_6 + a_7 ) + \cdots + (a_{2^n} + a_{2^n +1} + \cdots + a_{2^{n+1} -1} ) \\[5pt] &\le a_1 + 2a_2 + 4a_4 + \cdots + 2^n a_{2^n} \\[5pt] &\le a_1 + \sum_{k=1}^\infty 2^k a_{2^k} \end{align}\] 이므로 \(\sum_{k=1}^{\infty} a_k\)가 수렴한다.
그러므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6. (코시의 응집 판정법, Cauchy's Condensation Test)
수열 \(\left\{ a_n \right\}\)이 단조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고 하자. 그러면 \[\sum_{n=1}^{\infty} a_n \] 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sum_{n=1}^{\infty} 2^n a_{2^n} \] 이 수렴하는 것이다.예제 2.2.8. 다음 무한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시오.
\(\displaystyle (1) \, \sum_{n=1}^\infty \frac{1}{n}\)
\(\displaystyle (2) \, \sum_{n=2}^\infty \frac{1}{n\ln n}\)
\(\displaystyle (3) \, \sum_{n=2}^\infty \frac{1}{n(\ln n)^2}\)
\(\displaystyle (4) \, \sum_{n=9}^\infty \frac{1}{n\ln(\ln n)}\)
풀이.
(1) 수열 \(\left\{ \frac{1}{n} \right\}\)은 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 그런데 \[\sum_{n=1}^{\infty} \left( 2^n \cdot \frac{1}{2^n} \right) = \sum_{n=1}^{\infty} 1 = \infty\] 이므로, 응집 판정법에 의하여 \(\sum_{n=1}^{\infty} \frac{1}{n}\)이 발산한다.
(2) 수열 \(\left\{ \frac{1}{n\ln n} \right\}\)은 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 그런데 (1)에 의하여 \[ \sum_{n=2}^\infty \left( 2^n \cdot \frac{1}{2^n \ln 2^n} \right) = \sum_{n=2}^{\infty} \frac{1}{ n \ln 2} = \infty \] 이므로, 응집 판정법에 의하여 \(\sum_{n=2}^{\infty} \frac{1}{\ln n}\)이 발산한다.
(3) 수열 \(\left\{ \frac{1}{n (\ln n)^2} \right\}\)은 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 그런데 \[ \sum_{n=2}^{\infty} \left( 2^n \cdot \frac{1}{2^n (\ln 2^n )^2} \right) = \sum_{n=2}^{\infty} \frac{1}{n^2 (\ln 2)^2} = \frac{1}{(\ln 2)^2} \sum_{n=2}^{\infty} \frac{1}{n^2} \] 이 수렴하므로, 응집 판정법에 의하여 \(\sum_{n=2}^{\infty} \frac{1}{n (\ln n)^2}\)이 수렴한다.
(4) 수열 \(\left\{ \frac{1}{n\ln (\ln n)} \right\}\)은 감소하며 \(0\)에 수렴한다. 그런데 \[ \sum_{n=9}^{\infty} \left( 2^n \frac{1}{2^n \ln ( \ln 2^n )}\right) = \sum_{n=9}^{\infty} \frac{1}{\ln (n\ln 2)} = \sum_{n=9}^{\infty} \frac{1}{\ln n + \ln (\ln 2)} =\infty \] 이므로, 응집 판정법에 의하여 \(\sum_{n=9}^{\infty} \frac{1}{n \ln (\ln n)}\)이 발산한다.
예제 2.2.9. 무한급수 \[\sum_{n=1}^\infty \frac{1}{n^p}\] 를 \(\boldsymbol{p}\)-급수(p-series)라고 부른다. 이 무한급수가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p > 1\)인 것임을 밝히시오.
풀이. 만약 \(p \le 0\)이면 \(\left\{ \frac{1}{n^p}\right\}\)가 \(0\)에 수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um_{n=1}^\infty \frac{1}{n^p}\)이 발산한다.
이제 \(p > 0\)이라고 하자. 그러면 \(\left\{ \frac{1}{n^p}\right\}\)은 감소하고 \(0\)에 수렴한다. 코시 응집판정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 식을 살펴보자. \[\sum_{n=1}^\infty \left( 2^n \cdot \frac{1}{(2^n )^p} \right) = \sum_{n=1}^\infty 2^{n(1-p)} = \sum_{n=1}^{\infty} (2^{1-p})^n\] 마지막 무한급수는 무한등비급수이며 공비가 \(2^{1-p}\)이다. 그러므로 이 무한급수가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2^{1-p} < 1\)이다. 이 부등식을 풀면 \(1-p < 0,\) 즉 \(p > 1\)을 얻는다.
제곱근 상극한 판정법
상극한을 이용하여 제곱근 판정법을 더 다양한 무한급수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도로 개선할 수 있다.
수열 \(\left\{a_n\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varlimsup_{n\rightarrow\infty} \sqrt[n]{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rho < 1\)인 경우 \(\rho < r < 1\)인 실수 \(r\)를 택하자. \(\left\{ \sqrt[n]{a_n}\right\}\)의 부분수열 중에서 \(\rho\)보다 더 큰 값에 수렴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하여 \[\sqrt[n]{a_n} \le r\] 가 성립한다. 이것은 앞에서 제곱근 판정법을 증명할 때와 같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제곱근 판정법과 마찬가지로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는 결론을 얻는다.
\(\rho > 1\)인 경우, \(\rho\)와 \(1\) 사이에서 실수 \(r\)을 택할 수 있다. [\(\rho = \infty\)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left\{ \sqrt[n]{a_n}\right\}\)의 부분수열 중에서 \(r\)보다 큰 값에 수렴하는 것이 존재한다. 그러한 부분수열은 \(0\)에 수렴하지 않으므로 \(\left\{ a_n \right\}\) 또한 \(0\)에 수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sum_{n=1}^{\infty} a_n\)이 수렴하지 않는다.
이로써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2.2.7. (제곱근 상극한 판정법, Revised Root Test)
수열 \(\left\{ a_n \right\}\)의 모든 항이 \(0\) 이상이라고 하자. 그리고 \[\varlimsup_{n\rightarrow\infty} \sqrt[n]{a_n} = \rho\] 이며 \(\rho\)가 상수라고 하자.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
- 만약 \(\rho > 1\)이면 \(\sum_{n=1}^{\infty} a_n\)이 발산한다.
- 만약 \(\rho = 1\)이면 이 판정법으로 \(\sum_{n=1}^{\infty} a_n\)의 수렴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
위 정리의 이름을 ‘제곱근 상극한 판정법’이라고 붙였지만, 사실 그냥 ‘제곱근 판정법’이라고 부른다.
보기 2.2.10. 수열 \(\left\{ a_n \right\}\)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하자. \[a_n : \quad \frac{1}{2} ,\,\, \frac{1}{1^1} ,\,\, \frac{1}{2^2} ,\,\, \frac{1}{2^2} ,\,\, \frac{1}{2^3} ,\,\, \frac{1}{3^3} ,\,\, \frac{1}{2^4} ,\,\, \frac{1}{4^4} ,\,\, \cdots\] 즉 \[a_{2n} = \frac{1}{n^n} ,\quad a_{2n-1} = \frac{1}{2^n}\] 이다. 그러면 \[\lim_{n\rightarrow\infty} \sqrt[2n]{a_{2n}} = \lim_{n\rightarrow\infty} \frac{1}{\sqrt{n}} = 0\] 그리고 \[\lim_{n\rightarrow\infty} \sqrt[2n-1]{a_{2n-1}} = \lim_{n\rightarrow\infty} \frac{1}{2^{\frac{n}{2n-1}}} = \frac{1}{\sqrt{2}}\] 이다. \(\left\{ a_n \right\}\)의 각 항은 \(\left\{ a_{2n} \right\}\) 또는 \(\left\{ a_{2n-1}\right\}\)에 속한다. 따라서 \(\left\{ \sqrt[n]{a_n}\right\}\)의 상극한은 \(\frac{1}{\sqrt{2}}\)을 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곱근 판정법에 의하여 \(\sum_{n=1}^{\infty} a_n\)이 수렴한다.
- 앞의 글 : 무한급수의 뜻
- 다음 글 : 절대수렴과 조건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