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극한은 미적분의 시작부터 끝까지 모든 곳에 나타나는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함수의 극한의 엄밀한 정의를 살펴보고, 극한과 관련된 기본적인 성질을 증명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함수는 정의역과 공역이 \(\mathbb{R}\)의 부분집합인 것으로 한정한다.
극한의 엄밀한 정의
\(f\)가 실수 \(c\)를 원소로 갖는 한 열린 구간에서 정의된 함수라고 하자. 직관적으로 \(c\)에서 \(f\)의 극한값이 \(L\)이라는 것은 \(x\)가 \(c\)에 한없이 가까이 다가갈 때 \(f(x)\)의 값이 \(L\)에 한없이 가까이 다가감을 의미한다. 논리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1. \(c\)와 \(L\)이 실수이고, 함수 \(f\)가 \(c\)를 원소로 갖는 한 열린 구간에서 정의되었다고 하자. (단, \(c\)에서는 \(f\)의 값이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임의의 \(\epsilon > 0\)에 대하여 \(\delta > 0\)이 존재하여 \(0 < |x-c | < \delta\)인 모든 \(x\)에 대하여 \(|f(x) - L | < \epsilon\)을 만족시키면, ‘\(x\)가 \(c\)에 접근할 때 \(f\)의 극한은 \(L\)이다’라고 말하고, 기호로는 \[f(x) \,\to\, L \quad \text{as} \quad x\,\to\,c \tag{1}\] 또는 \[\lim_{x\,\to\,c} f(x) = L\tag{2}\] 로 나타낸다.
극한의 정의에서 \(x\)는 항상 \(f\)의 정의역의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약속한다.
다음 표현은 모두 같은 뜻이다.
- \(x\)가 \(c\)에 접근할 때 \(f\)의 극한은 \(L\)이다.
- \(x=c\)에서 \(f\)의 극한값은 \(L\)이다.
- \(x\)가 \(c\)에 접근할 때 \(f(x)\)는 \(L\)에 수렴한다.
- \(x\,\to\,c\)일 때 \(f(x) \,\to\, L\)이다.
함숫값과 극한값은 관계가 없다. 예컨대 다음 세 함수 모두 \(3\)에서 극한값은 \(7\)이다.
\[f(x) = 7 ,\] \[g(x) = \begin{cases} 7 \quad & \text{if} \,\, x \ne 3 \\[8pt] 0 \quad & \text{if} \,\, x = 3 , \end{cases}\] \[h(x) = \frac{7(x-3)}{x-3}.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여 증명하기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증명하는 예를 살펴보자.
보기 1.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을 증명해 보자. \[\lim_{x\,\to\,1} (3x-1) = 2\] \(f(x) = 3x-1 ,\) \(c = 1,\) \(L = 2\)라고 하면 \(f\)는 \(c\)를 포함하는 열린구간, 즉 실수 전체 구간에서 잘 정의된 함수이다. 이제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자.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delta = \frac{1}{3} \epsilon\)이라고 하면 \(\delta > 0\)이다. 이제 \( 0 < | x-1 | < \delta\)임을 가정하면 \[|f(x) - L | = | (3x-1) -2 | = |3x-3| = 3 |x-1| < 3 \delta = \epsilon\] 이므로 \(x\)가 \(1\)에 접근할 때 \((3x-1)\)은 \(2\)에 접근한다.
위 보기에서 \(\delta\)의 값은 \(\frac{\epsilon}{3}\)보다 더 작은 것으로 두어도 된다. \(\epsilon\)이 주어졌을 때,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delta\)의 값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보기 2. \(k\)가 실수일 때,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을 증명해 보자. \[\lim_{x\,\to\,k} x = k\]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delta = \epsilon\)이라고 하면 \(\delta > 0\)이다. 이제 \( 0 < |x-k| < \delta\)임을 가정하면 \(|x-k| < \delta = \epsilon\)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보기에서 보다시피 \(c\)에서 \(f\)의 극한값이 \(L\)이라는 증명을 ‘기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 다음으로 적당한 \(\delta > 0\)를 설정한다.
- \(0 < | x-c | < \delta\)임을 가정하고 \( |f(x) - L | < \epsilon\)이 성립함을 보인다.
이와 같은 증명의 기술 과정에서 \(\delta\)의 값을 찾는 과정은 보통 잘 드러나지 않는다. \(\delta\)를 찾는 과정은 증명을 기술하는 과정이 아니라 증명을 기술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다.
보기 3. 극한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을 증명해 보자. \[\lim_{x\,\to\,2} (x^2 +1 ) = 5\]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delta\)를 찾아야 한다. 그러한 양수 \(\delta\)가 이미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x-2| < \delta\)임을 가정하자. 그러면 \[| (x^2 +1) -5 | = |x^2 -4| = |x+2|\,|x-2| < \delta |x+2|\] 를 얻는다. 마지막 항 \(\delta |x+2|\)에서 \(\delta\)의 값은 충분히 작게(\(0\)에 가깝게) 만들어줄 수 있지만 \(|x+2|\)의 값은 그렇지 않다.
대신 \(x\)의 값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하여 \(|x+2|\)의 값의 범위도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x\)의 값의 범위를 직접 제한하지 못한다. 다만 \(|x-2|\)의 값의 범위만 제한할 수 있을 뿐이다. 만약 \(|x-2| < 1\)이라면 \(1 < x <3\)이므로 \(|x+2| < 5\)라는 제한된 범위를 얻는다. 이것을 위해서는 \(\delta \le 1\)이라는 조건을 주면 된다. (물론 \(|x-2|\)의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수는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예컨대 \(|x-2| < 1\) 대신 \(|x-2| < 7\)로 두어도 된다. 이 경우 \(|x+2| < 5\) 대신 \(|x+2| < 11\)이라는 제한된 범위를 얻는다.)
\(\delta \le 1\)이라는 가정 하에 \(\delta |x+2| < \epsilon \)이 성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x+2| < 5\)이므로 \[\delta |x+2| < 5\delta\] 이며, \(\delta \le \frac{\epsilon}{5}\)이라면 위 식의 값은 \(\epsilon\) 이하가 된다. 이로써 \(\delta\)의 값은 두 부등식 \(\delta \le 1,\) \(\delta \le \frac{\epsilon}{5}\)을 모두 만족시키면 충분함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는 \(\delta\)를 찾기 위한 탐색 과정이었을 뿐, 증명을 기술한 것은 아니다. 이제 극한의 정의에 맞게 증명을 기술해 보자. (이 문제가 시험 문제였다면, 답안을 작성할 땐 다음 문단의 내용부터 쓰면 된다.)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delta = \min \left\{ 1 ,\, \frac{\epsilon}{5} \right\}\)이라고 하자. 그리고 \(0 < |x-2| < \delta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 |x-2| < 1\)이므로 \( 1 < x < 3\) 즉 \[|x+2| < 5\] 를 얻는다. 이 부등식과 \(\delta \le \epsilon / 5\)라는 사실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x^2 +1) -5| = |x+2|\,|x-2| < \delta |x+2| < 5 \delta \le \epsilon.\] 이로써 정의를 이용하여 극한을 증명하였다.
수렴하지 않음을 보이기
극한의 정의의 부정을 이용하면 주어진 값이 함수의 극한이 아님을 보일 수 있다. \(c\)에서 함수 \(f : D \to \mathbb{R}\)의 극한이 \(L\)이라는 것을 논리기호로 나타내면 \[\forall \epsilon > 0 \,\, \exists \delta > 0 \,\, \forall x \in D \, : \, ( 0 < | x-c | < \delta \,\rightarrow\, |f(x)-L| < \epsilon )\] 이며, 이 문장의 부정은 \[\exists \epsilon > 0 \,\, \forall \delta > 0 \,\, \exists x \in D \, : \, ( 0 < | x-c | < \delta \,\,\, \text{and} \,\,\, |f(x)-L| \ge \epsilon )\] 이다. 이 문장의 뜻은 “적당한 \(\epsilon > 0\)이 존재하여 임의의 \(\delta > 0\)에 대하여 [\(0 < | x-c | < \delta\)이지만 \(|f(x)-L| \ge \epsilon\)인 점 \(x \in D\)가 존재]한다”이다.
보기 4. 함수 \(f\)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하자. \[f(x) =\begin{cases} 5 \qquad & \text{if} \,\, x > 3 \\[8pt] 1 \qquad & \text{if} \,\, x \le 3 \end{cases}\] \(x = 3\)일 때 함숫값은 \(f(3) = 1\)이다. 그러나 \(x \,\to\,3\)일 때 \(f\)의 극한값은 \(1\)이 아니다. 이것을 증명해 보자.
\(\epsilon = 2\)이라고 하자. 그리고 \(\delta > 0\)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실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3 < x < 3+\delta\)인 실수 \(x\)가 존재한다. 이 때 \(0 < |x-3| < \delta\)이지만 \[|f(x)-1| = |5-1| = 4 \ge 2 = \epsilon\]이므로 \(x \,\to\,3\)일 때 \(f\)의 극한값은 \(1\)이 아니다.
위 보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한의 부정을 이용하여 주어진 값이 극한값이 아님을 보일 때에는 ‘적당한 \(\epsilon\)’을 잡는 것과 ‘적당한 \(x\)’를 찾는 것이 증명의 핵심이다.
보기 5. 함수 \(f\)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하자. \[f(x) = \begin{cases} 1 \qquad & \text{if} \,\, x\in\mathbb{Q} \\[8pt] 0 \qquad & \text{if} \,\, x\notin\mathbb{Q} \end{cases}\] 그리고 실수 \(c\)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x\,\to\,c\)일 때 \(f(x)\)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해 보자.
결론에 반하여 \(x\,\to\,c\)일 때 \(f(x)\)의 극한값이 존재하고, 그 값이 \(L\)이라고 가정하자. \(\epsilon = 1/2\)이라고 하고, \(\delta > 0\)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L \ge 1/2\)이라면 열린구간 \((c-\delta ,\, c+\delta )\)에서 무리수 \(x\)를 택한다. 그러면 \(0 < |x-c| < \delta\)이지만 \(|f(x) - L| = L \ge \epsilon\)이므로 \(L\)은 극한값이 아니다.
만약 \(L < 1/2\)이라면 열린구간 \((c-\delta ,\, c+\delta )\)에서 유리수 \(x\)를 택한다. 그러면 \(0 < |x-c| < \delta\)이지만 \(|f(x) - L| = 1-L \ge \epsilon\)이므로 \(L\)은 극한값이 아니다.
그러므로 \(x\,\to\,c\)일 때 어떠한 값도 \(f(x)\)의 극한값이 될 수 없다.
극한의 유일성
사실 (2)와 같이 등호를 사용하여 극한 기호로 나타낼 수 있는 이유는 극한의 유일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1. 한 점에서 함수의 극한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유일하다. 즉 \[f(x)\,\to\,L \quad \text{as} \quad x\,\to\,c\] 이고 \[f(x)\,\to\,M \quad \text{as} \quad x\,\to\,c\] 이면 \(L=M\)이다.
증명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frac{\epsilon}{2}\)도 양수이다. 이 때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 0 < |x-c| < \delta_1 \)일 때마다 \[|f(x) - L | < \frac{\epsilon}{2}\] 이 성립하며, \(\delta_2 > 0\)이 존재하여 \( 0 < |x-c| < \delta_2 \)일 때마다 \[|f(x) - M | < \frac{\epsilon}{2}\] 이 성립한다. \( 0 < |x-c| < \min \left\{ \delta_1 ,\, \delta_2 \right\}\)인 \(x\)를 택하면 \[\begin{align} |L-M| &= |(L-f(x)) + (f(x)-M)| \\[8pt] &\le |f(x) - L | + |f(x)-M| \\[6pt] &< \frac{\epsilon}{2} + \frac{\epsilon}{2} = \epsilon \end{align}\] 이다. 여기서 \(\epsilon\)은 임의의 양수이므로 \(|L - M| =0\) 즉 \(L = M\)을 얻는다.
극한의 대수적 성질
극한의 정의는 극한을 구하는 방법을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 극한값을 알고 있는 함수를 대수적으로 변형하거나 결합하여 새로운 함수를 만들었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극한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정리 2. (극한의 대수적 성질) 만약 \(L,\) \(M,\) \(c,\) \(k\)가 실수이고 \(f\)와 \(g\)가 \(c\)를 원소로 갖는 한 열린 구간의 \(c\)를 제외한 점에서 정의되었으며, \[\lim_{x\,\to\,c} f(x) = L , \quad \lim_{x\,\to\,c}g(x)=M\]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a) \((f+g)\)는 \(c\)에서 수렴하고 \[ \lim _ { x\,\to\,c} (f(x)+g(x)) = L+M. \]
(b) \((f-g)\)는 \(c\)에서 수렴하고 \[ \lim _ { x\,\to\,c} (f(x)-g(x)) = L-M . \]
(c) \(kf \)는 \(c\)에서 수렴하고 \[ \lim _ { x\,\to\,c} (k f(x)) = kL . \]
(d) \(fg\)는 \(c\)에서 수렴하고 \[ \lim _ { x\,\to\,c} (f(x)g(x)) = LM . \]
(e) \(M \ne 0\)이면 \(f/g\)는 \(c\)에서 수렴하고 \[\lim_{x\,\to\,c} \frac{f(x)}{g(x)} = \frac{L}{M} .\]
증명
(a)와 (d)를 먼저 증명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c)를 증명하여, 그 다음에 (b)를 증명한다. (e)는 가장 마지막에 증명한다.
(a)의 증명.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1\)인 모든 \(x\)에 대하여 \[|f(x)-L| < \frac{\epsilon}{2}\]이 성립하며, \(\delta_2 > 0\)가 존재하여 \(0 < |x-c| < \delta_2\)인 모든 \(x\)에 대하여 \[|g(x)-M| < \frac{\epsilon}{2}\]이 성립한다. \(\delta = \min\left\{ \delta_1 ,\, \delta_2 \right\}\)라고 하자. 그러면 \( 0 < |x-c| < \delta\)인 모든 \(x\)에 대하여 \[\begin{align} |(f(x)+g(x)) - (L+M)| &= |(f(x)-L) + (g(x)-M)| \\[6pt] &\le |f(x)-L| + |g(x)-M| \\[6pt] &< \frac{\epsilon}{2} + \frac{\epsilon}{2} = \epsilon . \end{align}\]
(d)의 증명.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1\)은 양수이므로,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1\)인 모든 \(x\)에 대하여 \[ | g(x)-M | < 1 \tag{3}\] 이 성립하며, \(\delta_2 > 0\)가 존재하여 \(0 < |x-c| < \delta_2\)인 모든 \(x\)에 대하여 \[ | f(x)-L | < 1 \tag{4}\] 이 성립한다. 여기서 (3)과 (4)를 변형하면 각각 \[ |g(x)| < |M|+1 ,\quad |f(x)| < |L|+1 \tag{5}\] 을 얻는다. 한편 \( \epsilon/(2(|M|+1))\)과 \(\epsilon/(2(|L|+1))\)은 모두 양수이므로,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3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3\)인 모든 \(x\)에 대하여 \[ |f(x) - L| < \frac{\epsilon}{2(|M| +1)} \tag{6}\] 이 성립하며, \(\delta_4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4\)인 모든 \(x\)에 대하여 \[ |g(x) - M| < \frac{\epsilon}{2(|L| +1)} \tag{7}\] 이 성립한다. 이제 \(\delta = \min\left\{ \delta_1 ,\, \delta_2 ,\, \delta_3 ,\, \delta_4 \right\}\)라고 하자. 그러면 (5), (6), (7)에 의하여 \[\begin{align} | f(x)g(x) - LM| &= | f(x)g(x) - Lg(x) + Lg(x) - LM| \\[8pt] &\le |f(x)-L| \, |g(x)| + |L| \, |g(x)-M| \\[8pt] &< |f(x) -L| (|M|+1 ) + (|L|+1)|g(x)-M| \\[8pt] &< \frac{\epsilon}{2(|M|+1)} (|M|+1) + (|L|+1) \frac{\epsilon}{2(|L|+1)} \\[6pt] &= \frac{\epsilon}{2} + \frac{\epsilon}{2} = \epsilon \end{align}\] 이 성립한다.
(c)의 증명. \(g(x) = k\)라고 하면 \(x\,\to\,c\)일 때 \(g(x) \,\to\,k\)이고, \(kf(x) = g(x)f(x)\)이므로 (d)에 의하여 \[\begin{align} \lim _ { x\,\to\,c} (kf(x)) &= \lim _ { x\,\to\,c} (g(x)f(x)) \\[6pt] &= \left( \lim _ { x\,\to\,c} g(x) \right) \left( \lim _ { x\,\to\,c} f(x) \right) \\[6pt] &= kL \end{align}\] 을 얻는다.
(b)의 증명. (a)와 (c)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lim _ { x\,\to\,c} (f(x)-g(x)) &= \lim _ { x\,\to\,c} (f(x) + (-1)g(x)) \\[6pt] &=\lim _ { x\,\to\,c} f(x) + \lim _ { x\,\to\,c} ((-1)g(x)) \\[6pt] &=\lim _ { x\,\to\,c} f(x) + (-1) \lim _ { x\,\to\,c} g(x) \\[6pt] &= L + (-1)M \\[8pt] &= L-M. \end{align}\]
(e)의 증명.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M|/2\)은 양수이므로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1\)인 모든 \(x\)에 대하여 \[|g(x) - M| < \frac{|M|}{2}\tag{8}\] 이 성립한다. 또한 \(|M|^2 \epsilon / 2\)은 양수이므로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2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2\)인 모든 \(x\)에 대하여 \[|g(x) - M| < \frac{|M|^2}{2} \epsilon\tag{9}\] 이 성립한다. \(\delta = \min\left\{ \delta_1 ,\,\delta_2 \right\}\)라고 하자. 그리고 \(0 < |x-c| < \delta\)라고 하자. (8)을 변형하면 \[|g(x)| > \frac{|M|}{2}\] 즉 \[\frac{1}{|g(x)|} < \frac{2}{|M|}\tag{10}\] 를 얻는다. 그러므로 (10), (9)에 의하여 \[\begin{align} \left| \frac{1}{g(x)} - \frac{1}{M} \right| &= \frac{|M - g(x)|}{|g(x)|\,|M|} \\[6pt] &< \frac{2}{|M|^2} |M-g(x)| \\[6pt] &< \frac{2}{|M|^2} \cdot \frac{|M|^2}{2} \epsilon = \epsilon \end{align}\] 이 성립한다. 즉 \[\lim_{x\,\to\,c}\frac{1}{g(x)} = \frac{1}{M}\] 이다. 이 등식과 (b)를 이용하면 \[\lim_{x\,\to\,c}\frac{f(x)}{g(x)} = \lim_{x\,\to\,c}\left( f(x) \cdot \frac{1}{g(x)}\right) = L \cdot \frac{1}{M} = \frac{L}{M}\] 을 얻는다.
극한의 대수적 성질을 이용하면 다항함수와 분수함수의 극한값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보기 6. 다항함수의 극한값은 함숫값과 같다: \[\begin{align} \lim_{x\to3}(2x^3 -x^2 +4x ) &= \lim_{x\to 3} (2x^3) - \lim_{x\to 3}(x^2 ) + \lim_{x\to 3}(4x) \\[6pt] &= 2 \lim_{x\to 3} x^3 - \lim_{x\to 3}(x^2 ) + 4 \lim_{x\to 3} x \\[4pt] &= 2 \left(\lim_{x\to 3} x\right)^3 - \left(\lim_{x\to 3}x\right)^2 +4 \lim_{x\to 3} x \\[6pt] &= 2 \times 3^3 - 3^2 + 4 \times 3 \\[8pt] &= 54 - 9 + 12 = 57. \end{align}\]
보기 7. 분수함수의 극한값은, 분모가 \(0\)이 아니라면, 함숫값과 같다: \[\begin{align} \lim_{x\to -1}\frac{x^2 -3}{x+4} &= \frac{\lim_{x\to -1} (x^2 -3)}{\lim_{x\to -1} (x+4)} \\[6pt] &= \frac{(-1)^2 -3}{(-1)+4} \\[6pt] &= \frac{-2}{3} = - \frac{2}{3} . \end{align}\]
부등호와 관련된 극한의 성질
다음 정리는 함수의 식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거나, 함수의 식을 대수적으로 풀기 어려울 때에도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해주는 정리이다.
정리 3. (샌드위치 정리) \(c\)를 원소로 갖는 한 열린구간의 \(x=c\)를 제외한 모든 점 \(x\)에 대하여 \[g(x) \le f(x) \le h(x)\] 가 성립하고 \[\lim_{x\to c} g(x) = \lim_{x\to c} h(x) = L\] 이면 \[\lim_{x\to c} f(x) = L\] 이 성립한다.
증명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1\)인 모든 \(x\)에 대하여 \[|g(x) - L| < \epsilon\] 즉 \[ L - \epsilon < g(x) < L+ \epsilon\] 이 성립하며, \(\delta_2 > 0\)가 존재하여 \(0 < |x-c| < \delta_2\)인 모든 \(x\)에 대하여 \[|h(x) - L| < \epsilon\] 즉 \[ L - \epsilon < h(x) < L+ \epsilon\] 이 성립한다. \(\delta = \min\left\{\delta_1 ,\,\delta_2 \right\}\)라고 하면 \(0 < |x-c| < \delta\)인 모든 \(x\)에 대하여 \[ L - \epsilon < g(x) \le f(x) \le h(x) < L + \epsilon\] 즉 \[ | f(x) - L | < \epsilon\] 이 성립하므로 \(x\,\to\,c\)일 때 \(f(x)\,\to\,L\)이다.
샌드위치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 보기와 같이 직접 구하기 어려운 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보기 8. \(\theta\)가 \(0\)이 아닌 각이고 그 단위가 라디안이라고 하자.
그러면 위 그림을 통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 | \theta | \le \sin \theta \le | \theta | ,\\[8pt] - | \theta | \le 1- \cos \theta \le | \theta | .\] 이 부등식과 샌드위치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 극한을 얻는다. \[\lim_{\theta \,\to\,0} \sin \theta =0 ,\\[8pt] \lim_{\theta \,\to\,0} \cos\theta = 1.\]
두 함수의 대소 관계와 극한값의 대소 관계 사이에는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정리 4. \(c\)를 원소로 갖는 한 열린구간의 \(x=c\)를 제외한 모든 점 \(x\)에 대하여 \[f(x) \le g(x)\] 가 성립하고, \(x\,\to\,c\)일 때 \(f(x)\)와 \(g(x)\)의 극한이 모두 존재하면 \[\lim_{x\to c} f(x) \le \lim_{x\to c}g(x)\] 가 성립한다.
증명
결론을 부정하자. 즉 \[\lim_{x\to c}f(x) = L ,\quad \lim_{x\to c}g(x)=M\] 이고 \(L > M\)이라고 가정하자. \[\epsilon = \frac{L-M}{2}\] 라고 하자. 그러면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delta_1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1\)인 모든 \(x\)에 대하여 \[|f(x)-L| < \epsilon = \frac{L-M}{2}\] 즉 \[f(x) > L - \frac{L-M}{2}\] 이 성립하며, \(\delta_2 > 0\)이 존재하여 \(0 < |x-c| < \delta_2\)인 모든 \(x\)에 대하여 \[|g(x)-M| < \epsilon = \frac{L-M}{2}\] 즉 \[g(x) < M + \frac{L-M}{2}\] 이 성립한다. \(\delta = \min\left\{\delta_1 ,\,\delta_2\right\}\)라고 하면 \(0 < |x-c| < \delta\)인 \(x\)에 대하여 \[f(x) > L - \frac{L-M}{2} = \frac{L+M}{2} = M + \frac{L-M}{2} > g(x)\] 이므로, \(f(x) \le g(x)\)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L \le M\)이다.
함수의 극한과 수열의 극한의 관계
함수의 극한과 수열의 극한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두 극한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열의 극한을 엄밀하게 정의한다.
정의 2. (수열의 극한)
\(\left\{ x_n \right\}\)이 수열이고 \(L\)이 실수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epsilon > 0\)에 대하여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 > N\)인 모든 \(n\)에 대하여 \(\lvert x_n - L \rvert < \epsilon\)을 만족시키면, ‘수열 \(\left\{ x_n \right\}\)은 \(L\)에 수렴한다’라고 말하고 \(L\)을 \(\left\{x_n \right\}\)의 극한이라고 부른다. 수열 \(\left\{ x_n \right\}\)이 어떠한 값에도 수렴하지 않을 때 ‘수열 \(\left\{ x_n \right\}\)은 발산한다’라고 말한다.
수열 \(\left\{ x_n \right\}\)이 \(L\)에 수렴하는 것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_{n\to\infty} x_n = L\] 또는 \[x_n \,\to\, L .\]
수열의 극한 또한 함수의 극한과 마찬가지로 정리 2와 정리 3에서 살펴본 대수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수열의 극한의 성질을 상세히 살펴보는 것은 이 글의 목적이 아니므로 이 글에서 수열의 극한의 성질과 관련된 논의는 생략한다.
정리 5. (함수의 극한과 수열의 극한의 관계)
함수 \(f\)가 점 \(c\)를 원소로 갖는 열린 구간 \(I\)에서 정의되어 있고 \(L\)이 실수라고 하자. 이때, \(f\)가 \(c\)에서 \(L\)에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항이 \(I \setminus \left\{ c \right\}\)에 속하고 \(x_n \,\to\, c\)인 임의의 수열 \(\left\{ x_n \right\}\)에 대하여 \( f( x_n ) \,\to\, L\)인 것이다.
증명
먼저 필요조건을 증명하자. \(f\)가 \(c\)에서 \(L\)에 수렴한다고 하자. 그리고 수열 \(\left\{ x_n \right\}\)의 모든 항이 \(I\setminus \left\{ c \right\}\)에 속하고 \(c\)에 수렴한다고 하자. 이제 \(f(x_n ) \,\to\, L\)임을 증명해야 한다.
\(\epsilon > 0\)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c\)에서 \(f\)가 \(L\)에 수렴하므로 \(\delta > 0\)가 존재하여 \( 0 < \lvert x-c \rvert < \delta\)인 모든 \(x\)에 대하여 \(\lvert f(x)-L \rvert < \epsilon\)이 성립한다. 수열의 극한의 정의에 의하여 자연수 \(N\)이 존재하여 \(n > N\)인 모든 \(n\)에 대하여 \(\lvert x_n - c \rvert < \delta\)가 성립한다. 동일한 \(N\)에 대하여 \(n > N\)일 때 \(\lvert f(x_n ) - L \rvert < \epsilon\)이 성립하므로 \(f(x_n ) \,\to\,L\)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충분조건을 증명하자. 결론에 반하여 \(f\)가 \(c\)에서 \(L\)에 수렴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epsilon > 0\)이 존재하여, 임의의 \(\delta > 0\)에 대하여 \( 0 < \lvert x-c \rvert < \delta\)임에도 불구하고 \(\lvert f(x) - L \rvert \ge \epsilon\)인 \(x\)가 \(I\)에 존재한다. \(\delta_n = 1/n\)이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delta_n > 0\)이므로, \(0 < \lvert x_n - c \rvert < \delta_n\)임에도 불구하고 \(\lvert f(x_n ) - L \rvert \ge \epsilon\)인 점 \(x_n\)이 \(I\)에 존재한다. 이때 수열 \(\left\{ x_n \right\}\)은 \(c\)에 수렴하지만 \(\left\{ f(x_n ) \right\}\)은 \(L\)에 수렴하지 않는다.
보기 9. 보기 5에서 살펴본 내용을 다른 방법으로 증명해 보자. 함수 \(f\)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하자. \[f(x) = \begin{cases} 1 \qquad & \text{if} \,\, x\in\mathbb{Q} \\[8pt] 0 \qquad & \text{if} \,\, x\notin\mathbb{Q} \end{cases}\] 그리고 실수 \(c\)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x\,\to\,c\)일 때 \(f(x)\)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해 보자.
결론에 반하여 \(x\,\to\,c\)일 때 \(f(x)\)의 극한값이 존재하고, 그 값이 \(L\)이라고 가정하자.
유리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c\)에 수렴하고 \(q_n \ne c\)인 유리수열 \(\left\{ q_n \right\}\)이 존재하며, 무리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c\)에 수렴하고 \(r_n \ne c\)인 무리수열 \(\left\{ r_n \right\}\)이 존재한다. 이때 정리 5에 의하여 \[L = \lim_{x\to c} f(x) = \lim_{n\to\infty} f(q_n) = \lim_{n\to\infty} 1 = 1\] 그리고 \[L = \lim_{x\to c} f(x) = \lim_{n\to\infty} f(r_n) = \lim_{n\to\infty} 0 = 0\] 이므로 \(1 = L = 0\)이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c\)에서 \(f(x)\)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Meme
(Source: Chase Worley's Twitter)
사실 위 밈의 내용은 잘못되었다. 즉 세 번째 컷에서 ‘\(\delta\)’를 ‘\(\delta > 0\)’으로 바꾸어야 맞다. 왜냐하면, 만약 \(\delta = -1\)이라고 두면 ‘임의의 \(x\)에 대하여 \(0 < \lvert x-c \rvert < \delta\)는 거짓’이므로 \(f,\) \(c,\) \(L\)에 상관 없이 \[ ( 0 < \lvert x-c \rvert < \delta) \,\,\,\to\,\,\, (\lvert f(x) - L \rvert < \epsilon) \] 이 공조건적으로(가정이 거짓이므로 결론에 상관 없이) 참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