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을 공부하다 보면 수렴하는 극한을 증명하는 예를 자주 볼 수 있다. 반면에 발산하는 극한을 증명하는 예는 상대적으로 자주 볼 수 없다.
이 포스트에서는 발산하는 극한을 증명하는 예를 살펴보자. 이 포스트에서 말하는 ‘함수’는 모두 공역이 실수 집합인 함수를 나타낸다.
무한대로 발산하는 극한
함수 \(f\)가 점 \(c\)의 근처에서 정의되었다고 하자. (엄밀히 말하면, 점 \(c\)가 \(f\)의 정의역의 집적점이라고 하자.)
-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delta\)가 존재하여, \( 0 < \lvert x-c \rvert < \delta\)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 M\)이 성립하면, “\(x\)가 \(c\)에 다가갈 때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c} f(x)=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도 비슷하게 정의한다.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delta\)가 존재하여, \( 0 < \lvert x-c \rvert < \delta\)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 -M\)이 성립하면, “\(x\)가 \(c\)에 다가갈 때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c} f(x)= -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좌극한과 우극한도 비슷하게 정의한다. 좌극한의 경우 \(0 < \lvert x-c \rvert < \delta\)를 \( c-\delta < x < c \)로 바꾸면 되고, 우극한의 경우 \(0 < \lvert x-c \rvert < \delta\)를 \( c < x < c+\delta \)로 바꾸면 된다.
예제 1.
다음 극한을 증명하시오.
\[\lim_{x\rightarrow 0} \frac{1}{x^2} = \infty \]
풀이. 양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delta = \frac{1}{\sqrt{M}}\] 이라고 하자. 그러면 \(\delta\)는 양수이다.
이제 \( 0 < \lvert x-0 \rvert < \delta\)라고 하자. 그러면 \(0 < x^2 < \delta ^2\)이므로 \[\frac{1}{x^2} > \frac{1}{\delta ^2} = M\] 이다. 그러므로 \(x \rightarrow 2-\)일 때 \(\frac{1}{(x-2)^3}\)이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예제 2.
다음 극한을 증명하시오.
\[\lim_{x\rightarrow 2-} \frac{1}{(x-2)^3} = - \infty \]
풀이. 양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delta = \frac{1}{\sqrt[3]{M}}\] 이라고 하자(분모가 \(M\)의 세제곱근이다). 그러면 \(\delta\)는 양수이다.
이제 \( 2 - \delta < x < 2\)라고 하자. 그러면 \(0 > (x-2)^3 > - \delta ^3\)이므로 \[\frac{1}{(x-2)^3} < - \frac{1}{\delta ^3} = - M\] 이다. 그러므로 \(x \rightarrow 0\)일 때 \(\frac{1}{x^2} \rightarrow \infty\)이다.
\(x \rightarrow \infty\)인 극한이나 \(x \rightarrow -\infty\)인 극한의 정의는, \(x\)가 한 점에 다가가는 극한의 정의를 조금 바꾸면 된다.
함수 \(f\)의 정의역이 위로 유계가 아니라고 하자. (즉, 아무리 큰 양수를 생각하더라도 \(f\)의 정의역에 그 양수보다 더 큰 원소가 존재한다고 하자.)
-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X\)가 존재하여, \( x > X \)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 M\)이 성립하면, “\(x\)가 무한히 커질 때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infty} f(x)=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X\)가 존재하여, \( x > X \)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f(x) < -M\)이 성립하면, “\(x\)가 무한히 커질 때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infty} f(x)= -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함수 \(g\)의 정의역이 아래로 유계가 아니라고 하자. (즉, 아무리 작은 음수를 생각하더라도 \(g\)의 정의역에 그 음수보다 더 작은 원소가 존재한다고 하자.)
-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X\)가 존재하여, \( x < -X \)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g(x) > M\)이 성립하면, “\(x\)가 무한히 작아질 때 \(g(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infty} g(x)=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 만약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양수 \(X\)가 존재하여, \( x < -X \)인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g(x) < -M\)이 성립하면, “\(x\)가 무한히 작아질 때 \(g(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표현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_{x\rightarrow -\infty} g(x)= - \infty\] 와 같이 나타낸다.
예제 3.
다음 극한을 증명하시오.
\[\lim_{x\rightarrow \infty} x^3 = \infty \]
풀이 1. 양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X = \sqrt[3]{M}\)이라고 하자. 그러면 \(X\)는 양수이다.
이제 \(x > X\)라고 하자. 그러면 \[x^3 > X^3 = M\] 이다. 그러므로 \(x\rightarrow\infty\)일 때 \(x^3 \rightarrow \infty\)이다.
풀이 2. 양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X = \max \left\{ 1 ,\,\, M \right\}\)이라고 하자. 그러면 \(X\)는 양수이다.
이제 \(x > X\)라고 하자. 그러면 \(X \ge 1\)이므로 \(x^3 > X^3\)이다.
또한 \(M \ge 1\)일 때는 \(X^3 = M^3 \ge M\)이며, \(M < 1\)일 때는 \(X^3 \ge 1 > M\)이다.
그러므로 \[x^3 > X^3 \ge M\] 이다. 따라서 \(x\rightarrow\infty\)일 때 \(x^3\)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예제 4.
다음 극한을 증명하시오.
\[\lim_{x\rightarrow - \infty} e^{-x} = \infty \]
풀이. 양수 \(M\)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X = \max \left\{ 1,\,\, \ln M \right\}\)이라고 하자. 그러면 \(X\)는 양수이다.
이제 \(x < -X\)라고 하자. 그러면 \(-x > X > 0\)이므로 \[e^{-x} > e^X \ge e^{\ln M} = M\] 이다. 그러므로 \(x \rightarrow -\infty\)일 때 \(e^{-x} \rightarrow \infty\)이다.
진동하는 극한
\(x\rightarrow c\)일 때 \(f(x)\)가 수렴하지 않고,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고,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으면, “\(f(x)\)가 진동한다”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x\rightarrow c\)”는 \(x\)가 한 점에 다가가는 극한일 수도 있고, 좌극한이거나 우극한일 수도 있고, \(x\)가 무한히 커지거나 무한히 작아지는 극한일 수도 있다. 진동하는 극한은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지 않는다.
함수 \(f\)가 진동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세 가지를 모두 보여야 한다.
- 함수 \(f\)가 수렴하지 않는다.
- 함수 \(f\)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 함수 \(f\)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애초에 ‘진동’의 정의가 \(\epsilon - \delta\) 논법처럼 딱 한 줄로 서술되는 것이 아니므로, 함수가 진동한다는 사실을 증명할 때도 \(\epsilon - \delta\) 논법으로 증명할 때처럼 ‘짧고 깔끔’한 서술로 증명하지는 못한다.
예제 5.
\(x \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진동함을 증명하시오.
풀이. 우선 \(\sin x\)가 수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자.
결론과는 반대로 \(x\rightarrow\infty\)일 때 \(\sin x\)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극한값을 \(L\)이라고 하자. \(\epsilon = \frac{1}{2}\)이라고 두면 \(\epsilon > 0\)이므로, 수렴하는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양수 \(X\)가 존재한다. 그러면 \(x > X\)인 모든 \(x\)에 대하여 \[\lvert \sin x - L \rvert < \epsilon = \frac{1}{2}\] 즉 \[- \frac{1}{2} < \sin x - L < \frac{1}{2}\] 이 성립해야 한다. 이 부등식을 두 개의 부등식으로 나타내면 \[ L < \sin x + \frac{1}{2} , \quad \sin x - \frac{1}{2} < L\] 이다. \(X\)가 어떤 값이든 상관 없이 \(x > X\)인 범위에서 \(\sin x\)가 \(-1\)부터 \(1\)까지 모든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첫 번째 부등식으로부터 \[L < -1 + \frac{1}{2} = - \frac{1}{2}\] 을 얻으며, 두 번째 부등식으로부터 \[L > 1 - \frac{1}{2} = \frac{1}{2}\] 을 얻는다. 즉 \[\frac{1}{2} < L < - \frac{1}{2}\] 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는 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보이자.
결론과는 반대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M = 1\)이라고 하자. 그러면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양수 \(X\)가 존재하며, \(x > X\)인 모든 \(x\)에 대하여 \(\sin x > M\)이 성립한다. 그런데 \(\sin x\)의 값은 \(1\)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이것은 모순이다. 그러므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같은 방법으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이로써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가 수렴하지 않고,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고,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으므로, \(x\rightarrow \infty\)일 때 \(\sin x\)는 진동한다.
예제 6.
\(n\)이 정수이고 \(f(x) = \lfloor x \rfloor\)가 최대정수 함수(가우스 함수)라고 하자. \(x \rightarrow n\)일 때 \(f(x)\)가 진동함을 증명하시오.
풀이. 우선 \(\lfloor x \rfloor\)가 수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자.
결론과는 반대로 \(x\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가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극한값을 \(L\)이라고 하자. \(\epsilon = \frac{1}{2}\)이라고 두면 \(\epsilon > 0\)이므로, 수렴하는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양수 \(\delta\)가 존재한다. 그러면 \( 0 < \lvert x-n \rvert < \delta\)인 모든 \(x\)에 대하여 \[\lvert \lfloor x \rfloor - L \rvert < \epsilon\] 즉 \[ L - \frac{1}{2} < \lfloor x \rfloor < L + \frac{1}{2}\] 이 성립한다. 만약 \(x\)가 \( 0 < \lvert x-n \rvert < \delta\)이면서 \(n-1 < x < n\)인 범위에 있으면 \[\lfloor x \rfloor = n-1\] 이므로 \[L - \frac{1}{2} < n-1\] 즉 \[L < n - \frac{1}{2}\tag{a}\] 이 성립한다. 만약 \(x\)가 \( 0 < \lvert x-n \rvert < \delta\)이면서 \(n < x < n+1\)인 범위에 있으면 \[\lfloor x \rfloor = n\] 이므로 \[n < L + \frac{1}{2}\] 즉 \[n - \frac{1}{2} < L\tag{b}\] 이 성립한다. 두 부등식 (a), (b)를 결합하면 \[L < n - \frac{1}{2} < L\] 이므로 모순이다. 그러므로 \(x \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는 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x\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증명하자.
\(M = n+1\)이라고 하자. 그러면 \(M > 0\)이므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양수 \(\delta\)가 존재하여, \(0 < \lvert x-n \rvert < \delta\)일 때마다 \[\lfloor x \rfloor > M\tag{c}\] 이 성립한다. 그런데 \(x\)와 \(n\)의 거리가 \(1\) 미만이면 \(\lfloor x \rfloor\)의 값은 \(M = n+1\)보다 커질 수 없다. 그러므로 \(0 < \lvert x-n \rvert < \delta\)일 때마다 (c)가 성립하도록 하는 양수 \(\delta\)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x\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비슷한 방법으로 \(x\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함수가 진동한다는 사실을 증명할 때 다음과 같은 정리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함수의 극한과 관련된 몇 가지 정리
- \(x\rightarrow c\)일 때 \(f(x)\)가 \(L\)에 수렴하면, \(x\rightarrow c+\)일 때와 \(x\rightarrow c-\)일 때 모두 \(f(x)\)가 \(L\)에 수렴한다.
- \(x\rightarrow c\)일 때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면, \(x\rightarrow c+\)일 때와 \(x\rightarrow c-\)일 때 \(f(x)\)는 수렴하지 않고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 \(x\rightarrow c\)일 때 \(f(x)\)가 \(L\)에 수렴하고 \(\left\{ x_n \right\}\)이 \(c\)에 수렴하는 수열이면, 수열 \(\left\{ f(x_n ) \right\}\)은 \(L\)에 수렴한다.
- \(x\rightarrow c\)일 때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고 \(\left\{ x_n \right\}\)이 \(c\)에 수렴하는 수열이면, 수열 \(\left\{ f(x_n ) \right\}\)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위 정리 중 첫 번째 정리와 두 번째 정리에서 \(c\)는 모두 고정된 점(실수)이다. 세 번재 정리와 네 번째 정리의 경우 \(c\)를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바꿀 수 있다. 이때 “\(\left\{ x_n \right\}\)이 \(c\)에 수렴한다”라는 표현은 “\(\left\{ x_n \right\}\)이 \(c\)로 발산한다”로 바꾸면 된다.
예제 6의 다른 풀이. \(x \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 \rightarrow n-1\)이고, \(x \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 \rightarrow n\)이고, \(n\)에서 \(\lfloor x \rfloor\)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다르다. 그러므로 \(x\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는 수렴하지 않는다.
한편 \(x \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각각 수렴하므로, \(x \rightarrow n\)일 때 \(\lfloor x \rfloor\)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고,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는다.
예제 7.
함수 \(f:\mathbb{R} \rightarrow \mathbb{R}\)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고 하자.
\[f(x)=
\begin{cases}
1 \quad & \mathrm{if} \,\, x \in \mathbb{Q} ,\\[6pt]
0 \quad & \mathrm{if} \,\, x \notin \mathbb{Q} .
\end{cases}
\]
\(x\rightarrow 3\)일 때 \(f(x)\)가 진동함을 증명하시오.
풀이. \(x\rightarrow 3\)일 때 \(f(x)\)가 수렴한다고 가정하고, 극한값을 \(L\)이라고 하자. 그리고 \[q_n = 3+ \frac{1}{n} , \quad r_n = 3+ \frac{\pi}{n}\] 라고 하자. 그러면 \(\left\{ q_n \right\}\)은 \(3\)에 수렴하는 유리수열이고, \(\left\{ r_n \right\}\)은 \(3\)에 수렴하는 무리수열이다. 그러므로 두 수열 \(\left\{ f(q_n ) \right\}\)과 \(\left\{ f(r_n ) \right\}\)은 모두 같은 값 \(L\)에 수렴해야 한다. 그런데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q_n ) = 1 ,\quad f(r_n ) =0\] 이므로, \(\left\{ f(q_n ) \right\}\)과 \(\left\{ f(r_n ) \right\}\)은 각각 \(1\)과 \(0\)에 수렴한다. 그러므로 \(x\rightarrow 3\)일 때 \(f(x)\)는 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x\rightarrow 3\)일 때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보이자. \(M = 1\)이라고 하자. 그러면 양수 \(\delta\)를 어느 값으로 설정하든, \( 0 < \lvert x-3 \rvert < \delta\)를 만족시키는 \(x\)에 대하여 \(f(x) \le M\)이다. 즉 함숫값 \(f(x)\)가 \(M\)을 초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x\rightarrow 3\)일 때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다.
비슷한 방법으로 \(x\rightarrow 3\)일 때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예제 8.
함수 \(f:\mathbb{R} \rightarrow \mathbb{R}\)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고 하자.
\[f(x) = x + x \sin x.\]
\(x\rightarrow \infty\)일 때 \(f(x)\)가 진동함을 증명하시오.
풀이. \[p_n = 2n\pi + \frac{1}{2} \pi\] 라고 하면 \(\left\{ p_n \right\}\)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수열이다. 그런데 \[f( p_n ) = \left( 2n\pi + \frac{1}{2} \pi \right) + \left( 2n\pi + \frac{1}{2} \pi \right)\] 이므로, \(\left\{ f(p_n )\right\}\)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그러므로 \(x\rightarrow\infty\)일 때 \(f(x)\)는 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q_n = 2n\pi + \frac{3}{2} \pi\] 라고 하면 \(\left\{ q_n \right\}\)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수열이다. 그런데 \[f( q_n ) = \left( 2n\pi + \frac{3}{2} \pi \right) - \left( 2n\pi + \frac{3}{2} \pi \right) = 0\] 이므로, \(\left\{ f(q_n )\right\}\)은 \(0\)에 수렴한다. 그러므로 \(x\rightarrow\infty\)일 때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고,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는다.
연습문제
- 예제 2에서 좌극한을 우극한으로 바꾸어 극한을 증명하시오.
- 예제 3에서 \(x\rightarrow \infty\)를 \(x\rightarrow -\infty\)로 바꾸어 극한을 증명하시오.
- 예제 5에서 \(x\rightarrow \infty\)를 \(x\rightarrow -\infty\)로 바꾸어 극한을 증명하시오.
- 예제 7에서 정의된 함수 \(f(x)\)에 대하여, \(x\rightarrow \infty\)인 경우와 \(x\rightarrow -\infty\)인 경우를 증명하시오.
탐구문제
- “함수의 극한과 관련된 몇 가지 정리”를 증명해 보시오. (몇 가지 경우를 증명해야 하는 걸까?)
- \(x\rightarrow \infty\)인 극한의 정의에서 \(X\)가 반드시 양수일 필요가 있는가? 다양한 자료를 찾아본 후,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 \(f(x) \rightarrow \infty\)인 극한, 즉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극한의 정의에서 \(M\)이 반드시 양수일 필요가 있는가? 다양한 자료를 찾아본 후,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 모든 함수의 극한은 ‘수렴’, ‘양의 무한대로 발산’, ‘음의 무한대로 발산’, ‘진동’ 중 한 가지로 결정되는가? 한 가지로만 결정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