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미적분학 첫걸음』 5장 2절의 내용입니다. (미적분학 첫걸음 차례 보기)
기본 공식
\(n\)이 양의 정수이고 \(x\)가 실변수이며 \(f(x) = x^n\)이라고 하자. 이때 \(f\)의 도함수를 구해 보자.
만약 \(n=1\)이면 \[f ' (x)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 - f(x)}{\Delta x}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x+\Delta x) -x}{\Delta x} = 1\] 이다. 만약 \(n \ge 2\)이면 \[\begin{align} f ' (x)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 - f(x)}{\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x+\Delta x)^n - x^n}{\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left\{ ( x+\Delta x ) -x \right\} \left\{ (x+\Delta x)^{n-1} + (x+\Delta x)^{n-2} x + \cdots + x^{n-1} \right\}}{\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left\{ (x+ \Delta x)^{n-1} + (x+\Delta x)^{n-2} x + (x+\Delta x)^{n-3} x^2 + \cdots + x^{n-1} \right\} \\[4pt] &= \underbrace{x^{n-1} + x^{n-1} + x^{n-1} + \cdots + x^{n-1}}_{n\,\,\text{terms}} \\[4pt] &= nx^{n-1} \end{align}\] 이다. 지금까지 다음 정리를 증명하였다.
정리 5.2.1. (거듭제곱 법칙; Power Rule)
\(n\)이 양의 정수이고 \(f\)가 \(f(x)=x^n\)으로 정의된 실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만약 \(n=1\)이면, \(f ' (x) = 1\)이다.
- 만약 \(n \ge 2\)이면, \(f ' (x) = nx^{n-1}\)이다.
다음으로 사칙계산과 관련된 미분 공식을 살펴 보자. \(k\)가 상수이고, \(f\)와 \(g\)가 같은 정의역을 가지며 미분 가능한 함수라고 하자.
[1] \(\boldsymbol{kf}\)의 도함수. \[\begin{align} \frac{d}{dx} \left\{ kf(x) \righ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kf(x+\Delta x) - kf(x)}{\Delta x} \\[4pt] &= k \times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f(x)}{\Delta x} \\[6pt] &= kf ' (x) . \end{align}\]
[2] \(\boldsymbol{(f+g)}\)의 도함수. \[\begin{align} \frac{d}{dx}\left\{ f(x) + g(x) \righ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left\{ f(x+\Delta x) + g(x+\Delta x) \right\} - \left\{ f(x)+g(x)\right\} }{\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 - f(x)}{\Delta x}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g(x+\Delta x) - g(x)}{\Delta x} \\[6pt] &= f ' (x) + g ' (x) . \end{align}\]
[3] \(\boldsymbol{(f-g)}\)의 도함수. \[\begin{align} \frac{d}{dx} \left\{ f(x) - g(x) \right\} &= \frac{d}{dx} \left\{ f(x) + (-1) \cdot g(x) \right\} \\[4pt] &= \frac{d}{dx} f(x) + \frac{d}{dx} \left\{ (-1) g(x) \right\} \\[6pt] &= f ' (x) + (-1) g ' (x) = f ' (x) - g ' (x) . \end{align}\]
[4] \(\boldsymbol{fg}\)의 도함수. \[\begin{align} \frac{d}{dx} \left\{ f(x)g(x) \righ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g(x+\Delta x) - f(x)g(x)}{\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 f(x+\Delta x)g(x+\Delta x ) - f(x) g(x+\Delta x) + f(x)g(x+\Delta x) - f(x)g(x) }{\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left\{ \frac{f(x+\Delta x) -f(x)}{\Delta x} \cdot g(x+\Delta x) \right\} + \lim_{\Delta x \rightarrow 0} \left\{ f(x) \cdot \frac{g(x+\Delta x) -g(x)}{\Delta x}\right\} \\[6pt] &= f ' (x) g(x) + f(x) g ' (x) . \end{align}\]
[5] \(\boldsymbol{f/g}\)의 도함수. \(g(x) \ne 0\)이라고 하자. \[\begin{align} \frac{d}{dx} \left\{ \frac{f(x)}{g(x)} \righ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displaystyle\frac{f(x+\Delta x)}{g(x+\Delta x)} - \frac{f(x)}{g(x)}}{\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g(x) - f(x)g(x+\Delta x)}{g(x)g(x+\Delta x )\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f(x+\Delta x)g(x) - f(x)g(x) - \left\{ f(x)g(x+\Delta x ) - f(x)g(x) \right\}}{g(x)g(x+\Delta x)\Delta x} \\[4pt] &= \lim_{\Delta x \rightarrow 0} \frac{1}{g(x)g(x+\Delta x)} \left\{ \frac{f(x+\Delta x) -f(x)}{\Delta x} \cdot g(x) - f(x) \cdot \frac{g(x+\Delta x) - g(x)}{\Delta x} \right\} \\[4pt] &= \frac{1}{\left\{ g(x) \right\}^2} \cdot \left\{ f ' (x) g(x) - f(x) g ' (x) \right\} \\[4pt] &= \frac{f ' (x)g(x) - f(x) g ' (x)}{\left\{ g(x) \right\}^2}. \end{align}\]
정리 5.2.2. (기본 미분 공식)
\(k\)가 상수이고, \(f\)와 \(g\)가 같은 정의역을 가지며 미분 가능한 함수라고 하자.
- \(\displaystyle\frac{d}{dx} \left\{ kf(x) \right\} = kf ' (x) \)
- \(\displaystyle\frac{d}{dx} \left\{ f(x) + g(x) \right\} = f ' (x) + g ' (x)\)
- \(\displaystyle\frac{d}{dx} \left\{ f(x) - g(x) \right\} = f ' (x) - g ' (x)\)
- \(\displaystyle\frac{d}{dx} \left\{ f(x) g(x) \right\} = f ' (x) g (x) + f(x) g ' (x)\)
- \(\displaystyle\frac{d}{dx} \left\{ \frac{f(x)}{g(x)}\right\} = \frac{f ' (x) g(x) - f(x) g ' (x)}{\left\{ g(x) \right\}^2} \) (단, \(g(x)\ne 0\)일 때.)
보기 5.2.1.
- \(y=x^4\)이면 \(y ' = 4x^3\)이고 \(y '' = 12x^2\)이다.
- \(f(x)=4x^7\)이면 \(f ' (x) = 28x^6\)이다.
- \(y=4x^7 + x^4 - 3x\)이면 \(y ' = 28x^6 + 4x^3 - 3\)이다.
보기 5.2.2.
- \(g(x) = (x-1)^2 (x+3)\)이면 \[g(x) = (x^2 - 2x+1)(x+3) = x^3 +x^2 -5x +3\] 이므로 \(g ' (x) = 3x^2 + 2x-5\)이다.
- \(h(x) = \displaystyle \frac{1}{x}\)이면 \[h ' (x) = \frac{-1}{x^2} = - \frac{1}{x^2}\] 이다.
- \(k(x) = \displaystyle\frac{x+3}{x^2 -4x +5}\)이면 \[k ' (x) = \frac{(x^2 - 4x+5) - (x+3)(2x-4)}{(x^2 -4x+5)^2} = \frac{-x^2 -2x+17}{(x^2 -4x+5)^2}\] 이다.
합성함수의 미분
두 실함수 \(f:A\rightarrow B\)와 \(g:B\rightarrow C\)가 주어졌다고 하고, \(x_0 \in A,\) \(y_0 = f(x_0 )\)라고 하자. 또한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고 \(g\)가 \(y_0\)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y_0\)의 근방에서 함수 \(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h(y) = \begin{cases} \displaystyle\frac{g(y) -g(y_0)}{y-y_0} - g'(y_ 0) & \quad \text{if} \,\, y\ne y_0 ,\\[6pt] 0 & \quad \text{if} \,\, y=y_0 . \end{cases}\] 그러면 \(h\)는 \(y_0\)에서 연속이다.
\(y=f(x)\)라고 하면 \[g(f(x)) - g(f(x_0 )) = g(y) - g(y_0 ) = g' (y_0 )(y-y_0 ) + (y-y_0 )h(y)\] 이다. \(h\)가 \(y_0\)에서 연속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left. \frac{d}{dx} (g\circ f) \right\vert_{x=x_0} &= \lim_{x\rightarrow x_0} \frac{g(f(x)) - g(f(x_0 ))}{x-x_0} \\[5pt] &= \lim_{x\rightarrow x_0} \left\{ g ' (f(x_0 )) \frac{f(x)-f(x_0 )}{x-x_0} + h(f(x))\frac{f(x)-f(x_0 )}{x-x_0}\right\} \\[5pt] &= g ' (f(x_0 )) \cdot \lim_{x\rightarrow x_0} \frac{f(x)-f(x_0 )}{x-x_0} + h(y_0 ) \cdot \lim_{x\rightarrow x_0} \frac{f(x) - f(x_0 )}{x-x_0} \\[6pt] &= g ' ( f(x_0 )) f ' (x_0 ) . \end{align}\] 그러므로 \(g\circ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며, 그 미분계수는 \[(g\circ f) ' (x_0 ) = g ' (f(x_0 )) f ' (x_0 )\] 이다.
정리 5.2.3. (연쇄 법칙; 합성함수의 미분법; The Chain Rule)
두 실함수 \(f:A\rightarrow B\)와 \(g:B\rightarrow C\)가 주어졌다고 하고, \(x_0 \in A\)라고 하자. 또한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고 \(g\)가 \(f(x_0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그러면 합성함수 \(g\circ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며, 미분계수는 \[(g\circ f) ' (x_0 ) = g ' (f(x_0 )) f ' (x_0 )\] 이다.
보기 5.2.3. \(f(x)= (2x+3)^10\)이면 \[f ' (x) = 10(2x+3)^9 \times 2 = 20 (2x+3)^9\] 이다.
보기 5.2.4. 거듭제곱 법칙(정리 5.2.1)을 지수가 정수인 경우로 확장할 수 있다.
\(m\)이 음의 정수이고 \(f(x)=x^m\)이라고 하자. \(n=-m\)이라고 하면 \(n\)은 양의 정수이다. 그러므로 \[\begin{align} f ' (x) &= \frac{d}{dx}x^m \\[4pt] &= \frac{d}{dx} \left\{ \frac{1}{x^n}\right\} \\[4pt] &= \frac{-nx^{n-1}}{x^{2n}} \\[4pt] &= \frac{-n}{x^{n+1}} \\[4pt] &= -nx^{-n-1}\\[6pt] &= mx^{m-1} \end{align}\] 이다. 이 공식은 \(x\ne 0\)일 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자.
역함수의 미분
\(I = [a,\,b]\)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f\)가 \(I\)에서 순증가하는 실함수라고 하자. 또한 \[J = f(I) = \left\{ f(x) \,\vert\, x\in I \right\}\] 라고 하고, \(g\)가 함수 \(f : I \rightarrow J\)의 역함수라고 하자. 그리고 \(x_0 (a,\,b)\)이고 \(y_0 = f(x_0 )\)이라고 하자.
함수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고 \(f ' (x_0 ) \ne 0\)이라고 가정하자.
\(\left\{ t_n \right\}\)이 세 조건
- \(n\rightarrow\infty\)일 때 \(t_n \rightarrow y_0 ,\)
- 임의의 \(n\)에 대하여 \(t_n \ne y_0 ,\)
- 임의의 \(n\)에 대하여 \(t_n \in J\)
를 모두 만족시키는 임의의 수열이라고 하자. \(f\)가 \(I\)에서 정의된 일대일대응이므로 각 \(n\)에 대하여 \(t_n = f(s_n )\)을 만족시키는 점 \(s_n\)이 \(I\)에 딱 하나 존재한다. 더욱이 \(g\)가 \(y_0\)에서 연속이므로 \(n\rightarrow\infty\)일 때 \(s_n \rightarrow x_0\)이다. 그러므로 \[\begin{align} g ' (f(x_0 )) &= \lim_{y\rightarrow y_0} \frac{g(y) - g(y_0 )}{y-y_0} \\[4pt] &= \lim_{n\rightarrow\infty} \frac{g(t_n ) - g(f(x_0 ))}{t_n - y_0} \\[4pt] &= \lim_{n\rightarrow\infty} \frac{s_n - x_0}{f(s_n ) - f(x_0 )} \\[4pt] &= \frac{1}{f ' (x_0 )} \end{align}\] 이다. \(f\)가 \(I\)에서 순감소하는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
정리 5.2.4. (역함수의 미분)
\(I = [a,\,b]\)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f\)가 \(I\)에서 정의된, 순증가하거나 순감소하는 함수이며 \(g\)가 \(f\)의 역함수라고 하자. 그리고 \(x_0 \in (a,\,b)\)이며 \(y_0 = f(x_0 )\)라고 하자. 만약 \(f\)가 \(x_0\)에서 미분 가능하고 \(f ' (x_0 ) \ne 0\)이면, \(g\)가 \(y_0\)에서 미분 가능하고 미분계수는 다음과 같다. \[g ' (y_0 ) = \frac{1}{f ' (x_0 )} .\]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g ' (f(x_0 )) = \frac{1}{f ' (x_0 )}.\]
보기 5.2.5. 거듭제곱 법칙(정리 5.2.1)을 지수가 유리수인 경우로 확장할 수 있다.
\(f(x)=x^r\)이고 \(x > 0\)이며 \(r\)가 양의 유리수라고 하자. \(r = p/q\)이며 \(p\)와 \(q\)가 양의 정수라고 하자. 그러면 \(f(x)=(x^p )^{1/q}\)이다.
\(g(x)=x^q\)이고 \(h(y) = y^{1/q}\)이며 \(x > 0\)이라고 하자. \(x > 0\)인 범위에서 \(g\)가 미분 가능하고 순증가하므로, \(g\)의 역함수 \(h(y)\)가 \(y > 0\)인 범위에서 미분 가능하다. 그런데 \(f(x) = h(x^p )\)이므로 \(f\) 또한 미분 가능하다.
\(f(x)=(x^p )^{1/q}\)이므로 \[\left\{ f(x) \right\}^q = x^{qr} = x^p\] 이다.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q \left\{ f(x) \right\}^{q-1} f ' (x) = px^{p-1}\] 이며,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을 얻는다. \[f ' (x) = \frac{p}{q} \cdot \frac{x^{p-1}}{\left\{ f(x) \right\} ^{q-1}}.\] \(x^{p/q}\)을 \(x^r\)으로 바꾸면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f ' (x) &= \frac{p}{q}\cdot \frac{x^{p-1}}{\left\{ x^{p/q}\right\}^{q-1}}\\[4pt] &= \frac{p}{q}\cdot \frac{x^{p-1}}{x^{p(q-1)/q}} \\[4pt] &= \frac{p}{q}\cdot x^{(p/q)-1} \\[6pt] &= rx^{r-1}. \end{align}\]
음함수의 미분
\(y\)가 \(x\)의 함수이고 두 변수의 관계가 \(F(x,\,y)=0\) 꼴의 식으로 주어졌을 때 \(y\)를 음적으로 정의된 함수(implicitly-defined function) 또는 간단히 음함수라고 부른다.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음적으로 정의된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보기 5.2.6. \(y\)가 \(x\)의 함수이고 \[x^2 + 4xy^5 + 7xy + 8 =0\] 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또한 \(y\)가 \(x\)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2x + 4y^5 + 20xy^4 \frac{dy}{dx} + 7y + 7x \frac{dy}{dx}= 0.\]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을 얻는다. \[2x + 4y^5 + 7y + (20xy^4 + 7x) \frac{dy}{dx} = 0.\] 그러므로 다음을 얻는다. \[\frac{dy}{dx} = - \frac{2x+4y^5 + 7y}{20xy^4 + 7x}.\]
보기 5.2.7. 타원 \[\frac{x^2}{a^2} + \frac{y^2}{b^2} = 1\] 위의 점 \((x_0 ,\, y_0 )\)에서 타원에 접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rac{2x}{a^2} + \frac{2y}{b^2} \cdot \frac{dy}{dx} = 0\] 이다. 만약 \(y\ne 0\)이면 \[\frac{dy}{dx} = - \frac{b^2 x}{a^2 y}\] 이다. \(x_0\)와 \(y_0\)를 각각 \(x\)와 \(y\)에 대입하면 접선의 기울기 \[ - \frac{b^2 x_0}{a^2 y_0}\] 를 얻는다. 그러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 = - \frac{b^2 x_0}{a^2 y_0} (x-x_0 ) + y_0 = - \frac{b^2 x_0}{a^2 y_0} x + \frac{b^2 x_0 ^2}{a^2 y_0} + y_0 .\]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을 얻는다. \[\frac{x_0 x}{a^2} + \frac{y_0 y}{b^2} = \frac{x_0 ^2}{a^2} + \frac{y_0 ^2}{b^2} .\] 그런데 \((x_0 ,\, y_0 )\)이 타원 위의 점이므로 \[\frac{x_0 ^2}{a^2} + \frac{y_0 ^2}{b^2} = 1\] 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frac{x_0 x}{a^2} + \frac{y_0 y}{b^2} = 1\] 이다. 한편 \(y=0\)인 경우에는 \(x = \pm a\)이며, 이때 접선은 \(y\)축과 평행하다. 즉 이 경우 접선의 방정식은 \[x=\pm a\] 이다. 여기서 \((x_0 ,\, y_0 ) = (\pm a ,\, 0)\)이므로, 이 경우에도 접선의 방정식을 \[\frac{x_0 x}{a^2} + \frac{y_0 y}{b^2} =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매개변수로 나타난 함수의 미분
\(I\)가 길이가 양수인 구간이고 \(t\)가 \(I\)의 값을 취하는 변수라고 하자. 또한 \(y\)가 \(x\)의 함수이고 \(x = f(t),\) \(y=g(t)\)가 성립한다고 하자. 만약 \(f\)와 \(g\)가 모두 미분 가능한 함수이고 \(f ' (t) \ne 0\)이면 \[\frac{dy}{dx} = \frac{\displaystyle\frac{dy}{dt}}{\displaystyle\frac{dx}{dt}} = \frac{g ' (t)}{f ' (t)}\] 가 성립한다.
보기 5.2.8. \(y\)가 \(x\)의 함수이고 \(x=2t+1,\) \(y=-4t^2 -3\)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frac{dx}{dt} = 2 ,\quad \frac{dy}{dt} = -8t\] 이므로 \[\frac{dy}{dx} = \frac{\displaystyle\frac{dy}{dt}}{\displaystyle\frac{dx}{dt}} = \frac{-8t}{2} = -4t\] 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