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미적분학 첫걸음』 1장 6절의 내용입니다. (미적분학 첫걸음 차례 보기)
\(\left\{a_n\right\}\)이 \(a_n = (-1)^n\)으로 정의된 실수열이라고 하자. 이 수열은 수렴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수열의 두 부분수열 \(\left\{ a_{2n}\right\}\)과 \(\left\{a_{2n+1}\right\}\)을 살펴보면 \(n\,\rightarrow\,\infty\)일 때 \[a_{2n} \,\rightarrow\,1 \quad\text{and}\quad a_{2n+1} \,\rightarrow\,-1\] 로서 각각 \(1\)과 \(-1\)에 수렴한다. 더욱이, 만약 \(\left\{a_{r_n}\right\}\)이 \(\left\{a_n\right\}\)의 부분수열이고 어떤 값에 수렴하다면 그 극한값은 \(1\)보다 클 수 없고 \(-1\)보다 작을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1\)과 \(-1\)을 각각 \(\left\{a_n\right\}\)의 상극한, 하극한이라고 부른다.
실수열의 상극한과 하극한이 개념을 더 정확하게 살펴보자.
수열의 집적점
\(\left\{a_n\right\}\)이 실수열이고 \(\lambda\)가 실수라고 하자. 만약 \(\left\{a_n\right\}\)의 부분수열 \(\left\{a_{r_n}\right\}\)이 존재하여 이 부분수열이 \(\lambda\)에 수렴하면 \(\lambda\)를 \(\left\{a_n\right\}\)의 집적점(cluster point)이라고 부른다.
보기 1.6.1.
- 수열 \(\left\{ \frac{1}{n}\right\}\)은 \(0\)을 집적점으로 가진다. \(0\)은 이 수열의 유일한 집적점이다. 왜냐하면 \(\left\{ \frac{1}{n}\right\}\)이 \(0\)에 수렴하므로 이 수열의 모든 부분수열은 \(0\) 이외의 다른 값에 수렴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양의 정수 \(n\)의 100의 자리 숫자를 \(h_n\)이라고 하자. 단 \(n < 100\)일 때는 \(h_n = 0\)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0\)부터 \(9\)까지의 모든 정수는 수열 \(\left\{ h_n \right\}\)의 집적점이다.
- 군수열 \[1,\,1,\,2,\,1,\,2,\,3,\,1,\,2,\,3,\,4,\,1,\,2,\,3,\,4,\,5,\,\cdots\] 은 모든 양의 정수를 집적점으로 가진다.
- 함수 \(\phi : \mathbb{N} \rightarrow \mathbb{Q}\)가 일대일 대응이라고 하고, \(r_n = \phi (n)\)이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실수는 \(\left\{ r_n \right\}\)의 집적점이다.
\(\left\{a_n\right\}\)이 유계인 실수열이라고 하자. 그리고 양수 \(M\)이 \(\left\lvert a_n \right\rvert\)의 상계라고 하자. 즉 임의의 \(n\)에 대하여 \( \left\lvert a_n \right\rvert \le M\)이라고 하자.
\(I = [-M, \,M]\)이라고 하면 이 닫힌구간을 길이가 같은 두 닫힌구간으로 쪼갠 \([-M ,\, 0]\)과 \([0,\,M]\) 중 적어도 하나는 \(\left\{a_n\right\}\)의 항을 무한히 많이 가진다. 그 구간을 \(I_0 = \left[x_0 ,\, y_0 \right]\)이라고 하자. 다시 \(I_0\)를 두 닫힌구간으로 쪼갠 \[\left[x_0 ,\, \frac{x_0 + y_0}{2} \right] \quad\text{and}\quad \left[\frac{x_0 + y_0}{2} ,\, y_0 \right]\] 중 적어도 하나는 \(\left\{a_n\right\}\)의 항을 무한히 많이 가진다. 그 구간을 \(I_1 = \left[x_1 ,\, y_1 \right]\)이라고 하자. 이 과정을 반복하면 닫힌구간열 \[I_0 ,\, I_1 ,\, I_2 ,\, \cdots\] 를 얻는다. \(I_n = \left[ x_n ,\, y_n \right]\)이라고 하자. 구간 \(I_n\)의 길이는 \(2^{-n} M\)이며 \(\left\{a_n\right\}\)의 항을 무한히 많이 가진다.
\(I_1\)에 속하는 항을 하나 잡아서 \(a_{m_1} \in I_1\)이라고 하자. 다음으로 \[a_{m_2}\in I_2 \quad\text{and}\quad m_1 < m_2 \] 를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m_2\)를 택하자. 귀납적으로, 정수 \(m_k\)가 주어졌을 때 \[a_{m_{k+1}}\in I_{k+1} \quad\text{and}\quad m_k < m_{k+1}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m_{k+1}\)을 택하자.
\(I_n\)의 왼쪽 끝점으로 만든 수열 \(\left\{x_n\right\}\)은 단조증가하고, \(I_n\)의 오른쪽 끝점으로 만든 수열 \(\left\{y_n\right\}\)은 단조감소한다. 또한 이 두 수열은 유계이다. 그러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이 두 수열은 수렴한다. 그 극한값을 각각 \(X,\) \(Y\)라 하자. \(n\,\rightarrow\,\infty\)일 때 구간 \(I_n\)의 길이가 \(0\)에 수렴하므로 \(\left\lvert x_n - y_n \right\rvert \,\rightarrow\,0\)이다. 즉 \(\left\{x_n\right\}\)과 \(\left\{y_n\right\}\)은 같은 값에 수렴한다. 그러므로 \(X=Y\)이다. 이 값을 \(\lambda = X = Y\)라고 하자. 임의의 \(n\)에 대하여 \[x_n \le a_{m_n} \le y_n\] 이므로 조임 정리에 의하여 \(\left\{a_{m_n}\right\}\)은 \(\lambda\)에 수렴한다. 즉 \(\left\{a_n\right\}\)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진다.
이로써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1.6.1. (Bolzano-Weierstrass 정리)
\(\left\{a_n\right\}\)이 유계인 실수열이면 \(\left\{a_n\right\}\)은 집적점을 가진다.
참고. 위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컨대 \[r_n = (-2)^n + 2^n\] 이라고 하면 수열 \(\left\{ r_n \right\}\)은 \(0\)을 집적점으로 갖지만 \(\left\{r_n\right\}\)은 유계가 아니다.
상극한과 하극한
\(\left\{a_n \right\}\)이 유계인 실수열이라고 하자. 그리고 \(\left\{a_n \right\}\)의 집적점들의 모임을 \(C\)라고 하자. 그러면 \(C\)는 공집합이 아니며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진다. 이때 \(C\)의 최댓값을 \(\left\{a_n \right\}\)의 상극한(limit superior)이라고 부르고, \(C\)의 최솟값을 \(\left\{a_n \right\}\)의 하극한(limit inferior)이라고 부른다.
\(\left\{a_n\right\}\)의 상극한이 \(\overline{L}\)인 것을 기호로 \[\varlimsup _{n\rightarrow\infty} a_n = \overline{L}\] 또는 \[\limsup _{n\rightarrow\infty} a_n = \overline{L}\] 과 같이 나타내며, \(\left\{a_n\right\}\)의 하극한이 \(\underline{L}\)인 것을 기호로 \[\varliminf _{n\rightarrow\infty} a_n = \underline{L}\] 또는 \[\liminf _{n\rightarrow\infty} a_n = \underline{L}\] 과 같이 나타낸다.
유계가 아닌 실수열의 상극한과 하극한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만약 \(\left\{ a_n \right\}\)이 위로 유계가 아니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a_n = \infty\]라고 정의한다.
- 만약 \(\left\{ a_n \right\}\)이 아래로 유계가 아니면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 -\infty\]라고 정의한다.
- 만약 \(\left\{ a_n \right\}\)이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면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 \infty\]라고 정의한다.
- 만약 \(\left\{ a_n \right\}\)이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a_n = -\infty\]라고 정의한다.
이로써 상극한과 하극한은 임의의 수열에 대하여 정의된다. 이것은 앞에서 살펴본 극한이 진동하는 수열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았던 것과는 다른 성질이다.
보기 1.6.2.
- 만약 \(a_n = (-1)^n\)이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a_n =1 \quad\text{and}\quad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 -1.\]
- 만약 \(b_n = (-2)^n + 2^n\)이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b_n = \infty \quad\text{and}\quad \varliminf_{n\rightarrow\infty} b_n = 0.\]
- 만약 \(c_n = (-2)^n\)이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c_n =\infty \quad\text{and}\quad \varliminf_{n\rightarrow\infty} c_n = -\infty.\]
- 만약 \(d_n = 0.5^n\)이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d_n =0 \quad\text{and}\quad \varliminf_{n\rightarrow\infty} d_n = 0.\]
다음 정리는 상극한과 하극한의 정의부터 곧바로 유도되는 성질이다.
정리 1.6.2. \(\left\{ a_n \right\}\)이 유계인 실수열이라고 하자. 그러면 \(\left\{a_n\right\}\)의 상극한과 하극한이 실수로서 존재한다. 또한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le \varlimsup_{n\rightarrow\infty} a_n\] 이 성립한다.
더욱이 수열의 상극한과 하극한은 수열의 수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정리 1.6.3. \(\left\{a_n\right\}\)이 유계인 실수열이고 \(L\)이 실수라고 하자. 이때 \(\left\{ a_n \right\}\)이 \(L\)에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 \varlimsup_{n\rightarrow\infty} = L\] 인 것이다.
위 정리는 주어진 유계수열이 수렴하지 않음을 보일 때 유용하다. 다음 예를 보자.
보기 1.6.3.
- \(a_n = (-1)^n\)이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a_n = 1 \ne -1 = \varliminf_{n\rightarrow\infty} a_n\] 이므로 수열 \(\left\{a_n\right\}\)은 수렴하지 않는다.
- 만약 수열 \(\left\{ b_n \right\}\)이 \[3,\,6,\,9,\,3,\,6,\,9,\,3,\,6,\,9,\,\cdots\] 로 주어졌다면 \[\varlimsup_{n\rightarrow\infty} b_n = 9 \ne 3 = \varliminf_{n\rightarrow\infty} b_n\] 이므로 \(\left\{ b_n \right\}\)은 수렴하지 않는다.
- 앞의 글 : 유계수열과 단조수열
- 다음 글 : 벡터수열의 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