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 삼각함수는 기하학적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삼각함수를 기하학적으로 정의하면 여러 모로 불편한 점이 많다. 먼저 삼각함수의 정의역은 각(angle)의 집합이므로 삼각함수를 다른 함수와 합성할 때 각이 수와 혼용되어야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삼각함수의 값을 계산할 때 기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삼각함수는 그 정의역을 복소수 범위로 확장하기도 어렵다.
이와 같은 불편함 때문에 삼각함수를 다른 방법으로 정의해야 한다. 이 포스트에서는 거듭제곱급수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정의하고, 그렇게 정의된 삼각함수가 유일하게 결정됨을 보인다.
삼각함수의 해석적 정의
거듭제곱급수를 이용하여 함수를 정의하는 것을 해석적으로 정의한다라고 말한다. 삼각함수 중 사인과 코사인을 다음과 같이 해석적으로 정의한다.
정의 1. (사인, 코사인의 해석적 정의)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egin{align} \sin x &:= \sum _ {n=0}^{\infty} \frac{(-1)^n x^{2n+1}}{(2n+1)!} ,\tag{1}\\[4pt] \cos x &:= \sum _ {n=0}^{\infty} \frac{(-1)^n x^{2n}}{(2n)!} .\tag{2} \end{align}\] 두 함수를 순서대로 각각 사인, 코사인이라고 부른다.
비 판정법을 이용하여 (1)과 (2)의 수렴반지름을 구해 보자. \[\lim_{n\to\infty} \frac{(2n+1)!}{(2n+3)!} =0, \\[4pt] \lim_{n\to\infty} \frac{(2n)!}{(2n+2)!} =0\] 이므로 (1)과 (2)의 수렴반지름은 모두 무한대이다. 그러므로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과 (2)는 잘 정의된 함수이다.
삼각함수의 유일성
이제 사인과 코사인이 기하학적으로 정의한 삼각함수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함수가 각각 유일함을 보임으로써 이 정의를 정당화하자.
먼저 사인과 코사인의 정의에 의하여 명백히 \[\sin 0=0 ,\,\,\cos 0=1 \tag{3}\] 이다. 그리고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begin{align} \sin (-x) &= - \sin x , \tag{4}\\[6pt] \cos (-x) &= \cos x \tag{5} \end{align}\] 가 성립한다. 사인의 도함수와 코사인의 도함수를 구하면 \[\begin{align} \frac{d}{dx} \sin x &= \frac{d}{dx} \sum_{n=0}^{\infty} \frac{(-1)^n x^{2n+1}}{(2n+1)!} \\[4pt] &= \sum_{n=0}^{\infty} \frac{d}{dx} \frac{(-1)^n x^{2n+1}}{(2n+1)!} \\[4pt] &= \sum_{n=0}^{\infty} \frac{(-1)^n (2n+1)x^{2n}}{(2n+1)!} \\[4pt] &= \sum_{n=0}^{\infty} \frac{(-1)^n x^{2n}}{(2n)!} = \cos x,\\[6pt] \end{align}\] \[\begin{align} \frac{d}{dx} \cos x &= \frac{d}{dx} \sum_{n=0}^{\infty} \frac{(-1)^n x^{2n}}{(2n)!} \\[4pt] &= \sum_{n=0}^{\infty} \frac{d}{dx} \frac{(-1)^n x^{2n}}{(2n)!} \\[4pt] &= \sum_{n=1}^{\infty} \frac{(-1)^n 2n x^{2(n-1)}}{(2n)!} \\[4pt] &= \sum_{n=1}^{\infty} \frac{(-1)^n x^{2n-1}}{(2n-1)!} \\[4pt] &= -\sum_{n=0}^{\infty} \frac{(-1)^n x^{2n+1}}{(2n+1)!} = - \sin x \end{align}\] 이므로 \[\begin{align} \frac{d}{dx} \sin x &= \cos x ,\tag{6}\\[4pt] \frac{d}{dx} \cos x &= - \sin x \tag{7} \end{align}\] 이다. \(\phi (x) = \sin^2 x + \cos^2 x\)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x\)에 대하여 \[\frac{d}{dx} \phi (x) = 2 \sin x \,\cos x + 2 \cos x (-\sin x )=0\] 이므로 \(\phi\)는 상수함수이다. 그런데 \(\phi (0) = 1\)이므로 임의의 \(x\)에 대하여 \[\sin^2 x + \cos^2 x = 1\tag{8}\] 을 얻는다. 또한 사인의 이계도함수와 코사인의 이계도함수를 구하면 \[\begin{align} \frac{d^2}{(dx)^2} \sin x = - \sin x ,\tag{9}\\[4pt] \frac{d^2}{(dx)^2} \cos x = - \cos x \tag{10} \end{align}\] 이다. 이로써 (3)~(10)을 통해 사인과 코사인이 각각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삼각함수와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은 성질을 가진 함수가 사인과 코사인으로서 각각 유일하게 결정됨을 보이자.
정리 1.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의 유일성)
함수 \(f : \mathbb{R} \to \mathbb{R}\)가 두 번 이상 미분 가능하고 \[f ' ' = - f ,\,\,f(0) =0 ,\,\,f ' (0) = b\tag{11}\]를 모두 만족시키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 = b\sin x\)가 성립한다. 또한 함수 \(g : \mathbb{R} \to \mathbb{R}\)가 두 번 이상 미분 가능하고 \[g ' ' = -g ,\,\, g(0) = a ,\,\, g ' (0) = b\tag{12}\]를 모두 만족시키면 임의의 \(x\)에 대하여 \(g(x) = a\cos x + b\sin x\)가 성립한다.
증명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begin{align} \eta (x) &= f(x) \sin x + f ' (x) \cos x ,\\[7pt] \xi (x) &= f(x) \cos x - f ' (x) \sin x \end{align}\] 라고 정의하자. 그러면 \(\eta ' (x) =0 ,\) \(\xi ' (x) =0\)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b&= f(x) \sin x + f ' (x) \cos x ,\\[7pt] 0&= f(x) \cos x - f ' (x) \sin x . \end{align}\]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b\sin x &= \sin x ( f(x) \sin x + f ' (x) \cos x ) \\[7pt] &= f(x) (1- \cos^2 x ) + f ' (x) \sin x \, \cos x \\[7pt] &= f(x) - \cos x ( f(x) \cos x - f ' (x) \sin x ) = f(x). \end{align}\] 다음으로 임의의 \(x\)에 대하여 \[\phi (x) = g(x) - a \cos x\] 라고 정의하면 \(\phi ' ' = - \phi ,\) \(\phi (0) = 0,\) \(\phi ' (0) = b\)이므로 \(\phi\)는 (11)을 모두 만족시킨다. 그러므로 증명의 앞부분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여 \[\phi (x) = b\sin x\]를 얻는다. 즉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g(x) = a \cos x + b \sin x .\tag*{\(\blacksquare\)}\]
위 정리에서 \(a=1,\) \(b=1\)을 대입하면 \(f ' ' = -f ,\) \(f(0) = 0 ,\) \(f ' (0) = 1\)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f\)는 \[f(x) = \sin x\] 로서 유일하며, \(g ' ' = - g ,\) \(g(0) =1,\) \(g ' (0) = 0\)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g\)는 \[g(x) = \cos x\] 로서 유일하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따름정리 1. 해석적으로 정의한 사인, 코사인은 기하학적으로 정의한 사인, 코사인과 완전히 일치한다.
몇 가지 성질
사인과 코사인의 성질을 몇 가지 더 살펴보자. 다음 정리는 (1)과 (2)를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성질을 증명하는 예를 보여준다.
정리 2. (삼각함수의 덧셈 정리)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sin (x+y) = \sin x\, \cos y + \cos x \, \sin y\)
- \(\cos (x+y) = \cos x\, \cos y + \sin x \, \sin y\)
증명
실수 \(y\)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y\)를 고정시키고 \(x\)만 변수로 보고 증명하는 기술을 사용하겠다.) \[f(x) = \sin (x+y)\] 라고 정의하면 \[f ' ' = - f ,\,\, f(0) = \sin y ,\,\, f ' (0) = \cos y\] 이므로 \(f\)는 정리 1의 조건 (12)를 모두 만족시킨다. 따라서 정리 1에 의하여 \[\sin (x+y) = f(x) = \sin y \,\cos x + \sin x \,\cos y\] 가 성립한다. 또한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cos (x+y) = f ' (x) = \cos x \,\cos y - \sin x\, \sin y\] 를 얻는다.
코사인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cos 2 = 1 - \frac{2^2}{2!} + \frac{2^4}{4!} - \frac{2^6}{6!} + - \cdots .\] 또한 교대급수의 오차의 한계 공식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left\lvert \cos 2 - \left( 1 - \frac{2^2}{2!} \right) \right\rvert \le \frac{2^4}{4!} = \frac{2}{3}.\] 따라서 \(\cos 2 < 0\)이다. 또한 \(\cos 0 = 1\)이고 코사인은 연속함수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cos x=0\)을 만족시키는 \(x\)가 \(0\)과 \(2\) 사이에 존재한다. 그러한 \(x\) 중 가장 작은 값의 두 배를 \(\pi\)로 나타내며 원주율이라고 부른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2. (원주율)
\[\pi = 2 \min \left\{ x \,\vert\, \cos x =0 ,\,\, 0 \le x \le 2 \right\}.\tag{13}\]코사인이 연속함수이고 \(\cos 0 \ne 0\)이므로 \[\left\{x\,\vert\, \cos x = 0 ,\,\, 0 \le x \le 2 \right\}\] 은 닫힌 집합이다. 따라서 이 집합의 최솟값은 잘 정의되며, 그 값은 양수이다. 즉 \(\pi > 0\)이다.
원주율의 정의에 의하여 \(\cos \frac{\pi}{2} = 0\)이고 \[\cos^2 \frac{\pi}{2} + \sin^2 \frac{\pi}{2} = 1\]이므로 \(\sin \frac{\pi}{2}\)의 값은 \(1\)이거나 \(-1\)이다. 그런데 열린 구간 \(\left(0,\, \frac{\pi}{2} \right)\)에서 \[\frac{d}{dx}\sin x = \cos x > 0\] 이므로 사인은 이 구간에서 증가함수이다. 그러므로 \[\sin \frac{\pi}{2} = 1 \tag{14}\] 이다. 삼각함수의 덧셈 정리를 이용하면 \[\cos \pi = \cos \left( \frac{\pi}{2} + \frac{\pi}{2} \right) = -\sin \frac{\pi}{2} \cdot \sin \frac{\pi}{2} = -1\] 이며, 같은 방법으로 \[\sin \pi =0 ,\,\, \cos 2 \pi = 1 ,\,\, \sin 2 \pi = 0\] 을 얻는다. 다시 삼각함수의 덧셈 정리를 이용하면 \[\begin{gather} \cos(x+ 2\pi ) = \cos x ,\\[7pt] \sin(x+ 2\pi) = \sin x ,\\[5pt] \cos \left( x + \frac{\pi}{2} \right) = -\sin x ,\\[5pt] \sin \left( x + \frac{\pi}{2} \right) = \cos x \end{gather}\] 를 얻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리를 얻는다.
정리 3. (삼각함수의 주기성)
사인과 코사인은 각각 주기가 \(2\pi\)인 주기함수이다.
사인과 코사인을 결합하여 다른 네 개의 삼각함수를 만들 수 있으므로 다른 삼각함수의 성질은 다루지 않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