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에서는 사칙계산과 관련된 미분의 계산 법칙을 유도하고 다항함수와 유리함수의 미분법을 살펴본다.
먼저 상수함수와 단항함수의 미분법을 살펴보자.
정리 1. (상수함수의 미분)
\(f\)가 상수함수이고 \(f(x)=c\)일 때 \(f ' (x) = 0\)이다.
증명
\[f ' (x) = \lim_{h\to 0} \frac{f(x+h)-f(x)}{h} = \lim_{h\to 0}\frac{c-c}{h} = 0.\tag*{\(\blacksquare\)}\]
정리 2. (거듭제곱 미분 법칙)
\(n\)이 자연수이고 \(f(x)=x^n\)일 때 \(f ' (x) = nx^{n-1}\)이다. (단, \(n=1,\) \(x=0\)일 때에는 \(f ' (0) = 1\)이다.)
증명
먼저 \(n \ge 2\)인 경우를 증명하자. \(t\ne x\)일 때 \[t^n - x^n = (t-x)(t^{n-1} + t^{n-2}x + \cdots + tx^{n-2} + x^{n-1})\]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f ' (x) &= \lim_{t\to x}\frac{f(t)-f(x)}{t-x} \\[6pt] &= \lim_{t\to x}\frac{t^n - x^n}{t-x} \\[6pt] &= \lim_{t\to x}\frac{(t-x)(t^{n-1} + t^{n-2}x + \cdots + tx^{n-2} + x^{n-1})}{t-x} \\[6pt] &= \lim_{t\to x}(t^{n-1} + t^{n-2}x + \cdots + tx^{n-2} + x^{n-1}) \\[6pt] &= x^{n-1} + x^{n-2}x + \cdots + x^{n-1} \quad (n \text{ terms})\\[6pt] &= nx^{n-1}. \end{align}\] \(n=1\)일 때에는 \[f ' (x) = \lim_{t\to x}\frac{f(t)-f(x)}{t-x} = \lim_{t\to x}\frac{t-x}{t-x} = 1\] 이므로 \(f ' (x) = 1\)이다. 특히 \(x\ne 0\)일 때 \(f ' (x) = 1 = x^0\)이다.
참고. 사실 정리 2의 공식은 지수 \(n\)이 실수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포스트에서는 지수가 정수일 때의 공식을 증명하며(따름정리 4), 지수가 실수일 때의 공식은 로그함수의 미분법을 살펴본 뒤 증명할 것이다.
정리 3. (상수배 미분 법칙)
\(c\)가 상수함수이고 \(f\)가 미분 가능한 함수일 때 함수 \(cf\)의 도함수는 \[\frac{d}{dx}(cf) = c\frac{df}{dx} .\]
증명
\[\begin{align} \frac{d}{dx}(cf) &= \lim_{h\to 0}\frac{cf(x+h) - cf(x)}{h} \\[6pt] &= \lim_{h\to 0}\frac{c(f(x+h) - f(x))}{h} \\[6pt] &= c\lim_{h\to 0}\frac{f(x+h)-f(x)}{h} \\[6pt] &= c \frac{df}{dx}.\tag*{\(\blacksquare\)} \end{align}\]
정리 2와 정리 3을 결합하면 다음을 얻는다.
따름정리 1. (단항함수의 미분)
\(c\)가 상수이고 \(n\)이 자연수일 때 \[\frac{d}{dx}(cx^n ) = cnx^{n-1}.\] 단, 편의상 \(n=1,\) \(x=0\)일 때 우변은 \(0^0 = 1\)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사칙계산과 관련된 미분의 계산 법칙을 살펴보자.
정리 4. (덧셈 미분 법칙)
두 함수 \(f\)와 \(g\)가 미분 가능하고 \(y=f(x)+g(x)\)일 때 \[y ' = f ' (x) + g ' (x) .\]
증명
\[\begin{align} y ' &= \lim_{h\to 0}\frac{(f(x+h)+g(x+h)) - (f(x)+g(x))}{h} \\[6pt] &= \lim_{h\to 0}\frac{(f(x+h)-f(x)) + (g(x+h)-g(x))}{h} \\[6pt] &= \lim_{h\to 0}\frac{f(x+h)-f(x)}{h} + \lim_{h\to 0}\frac{g(x+h)-g(x)}{h} \\[6pt] &= f ' (x) + g ' (x) . \tag*{\(\blacksquare\)} \end{align}\]
따름정리 2. (뺄셈 미분 법칙)
두 함수 \(f\)와 \(g\)가 미분 가능하고 \(y=f(x)-g(x)\)일 때 \[y ' = f ' (x) - g ' (x) .\]
증명
\(h(x) = -g(x)\)라고 하면 \(y = f(x)+h(x)\)이고, 정리 3에 의하여 \(h ' (x) = - g ' (x)\)이므로 \[y ' = f ' (x) + h ' (x) = f ' (x) - g ' (x)\] 이다.
따름정리 3. (다항함수의 미분)
\(f\)가 다항함수이고 상수 \(a_n ,\) \(a_{n-1} ,\) \(\cdots ,\) \(a_0\)에 대하여 \[f(x)=a_n x^n + a_{n-1} x^{n-1} + \cdots + a_1 x + a_0\] 꼴로 나타나면 \[f ' (x) = na_n x^{n-1} + (n-1)a_{n-1}x^{n-2} + \cdots + a_1 \tag{1}\] 이다.
증명
\(n\)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n=1\)일 때에는 \[f(x) = a_1 x + a_0\] 이므로 \[f ' (x) = a_1\] 로서 (1)이 성립한다.
이제 \(k\)가 자연수이고 \(n=k\)일 때 (1)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f(x)=a_{k+1} x^{k+1} + a_k x^k + a_{k-1} x^{k-1} + \cdots + a_1 x + a_0\] 이라고 하자. 그러면 정리 4와 \(n=k\)일 때의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begin{align} f ' (x) &= \frac{d}{dx} (a_{k+1} x^{k+1}) + \frac{d}{dx}(a_n x^k + a_{k-1} x^{k-1} + \cdots + a_1 x + a_0)\\[6pt] &= (k+1)a_{k+1} x^k + (ka_k x^{k-1} + (k-1)a_{k-1}x^{k-2} + \cdots + a_1) \\[8pt] &= (k+1)a_{k+1} x^k + ka_k x^{k-1} + (k-1)a_{k-1}x^{k-2} + \cdots + a_1 \end{align}\] 이므로 \(n=k+1\)일 때에도 (1)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1)이 성립한다.
보기 1.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해보자. \[\begin{align} f(x) &= 3x^2 -4x +7, \\[8pt] g(x) &= -5x^7 +3x^4 -4x +1. \end{align}\] 따름정리 3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egin{align} f ' (x) &= 6x -4, \\[8pt] g ' (x) &= -35x^6 +12x^3 -4. \tag*{\(\square\)} \end{align}\]
정리 5. (곱셈 미분 법칙)
두 함수 \(f\)와 \(g\)가 미분 가능하고 \(y=f(x)g(x)\)일 때 \[y ' = f ' (x) g (x) + f(x) g ' (x) .\]
증명
\[\begin{align} y ' &= \lim_{h\to 0}\frac{f(x+h)g(x+h) - f(x)g(x)}{h} \\[6pt] &= \lim_{h\to 0}\frac{f(x+h)g(x+h) - f(x)g(x+h) + f(x)g(x+h) - f(x)g(x)}{h} \\[6pt] &= \lim_{h\to 0}\frac{(f(x+h)-f(x))g(x+h) + f(x)(g(x+h) - g(x))}{h} \\[6pt] &= \lim_{h\to 0}\frac{f(x+h)-f(x)}{h} \cdot \lim_{h\to 0} g(x+h) + f(x) \cdot \lim_{h\to 0}\frac{g(x+h) - g(x)}{h} \\[6pt] &= f ' (x) g(x) + f(x)g ' (x) . \tag*{\(\blacksquare\)} \end{align}\]
정리 6. (나눗셈 미분 법칙)
두 함수 \(f\)와 \(g\)가 미분 가능하고 \[y=\frac{f(x)}{g(x)}\] 라고 하자. 이때 \(g (x) \ne 0\)인 \(x\)에 대하여 \[y ' = \frac{f ' (x) g (x) - f(x) g ' (x)}{(g(x))^2} .\]
증명
\(h(x) = 1/g(x)\)이라고 하면 \[\begin{align} h ' (x) &= \lim_{h\to 0}\frac{h(x+h) - h(x)}{h} \\[6pt] &= \lim_{h\to 0}\frac{1/g(x+h) -1/g(x)}{h} \\[6pt] &= \lim_{h\to 0}\frac{g(x) - g(x+h)}{hg(x+h)g(x)} \\[6pt] &= -\lim_{h\to 0}\frac{g(x+h)-g(x)}{h} \cdot \lim_{h\to 0}\frac{1}{g(x+h)g(x)} \\[6pt] &= - g ' (x) \cdot \frac{1}{(g(x)^2} \\[6pt] &= - \frac{g ' (x)}{(g(x))^2} \end{align}\] 이고, \(y=f(x)h(x)\)이므로 \[\begin{align} y ' &= f ' (x) h(x) + f(x) h ' (x) \\[6pt] &= \frac{f ' (x)}{g(x)} - \frac{f(x) g ' (x)}{(g(x))^2} \\[6pt] &= \frac{f ' (x)g(x)}{(g(x))^2} - \frac{f(x) g ' (x)}{(g(x))^2} \\[6pt] &= \frac{f ' (x) g(x) - f(x) g ' (x)}{(g(x))^2} \end{align}\] 이다.
따름정리 4. (음의 정수 지수에 대한 거듭제곱 미분 법칙)
\(m\)이 음의 정수이고 \(f(x)=x^m\)일 때 \(f ' (x) = mx^{m-1}\)이다.
증명
\(n=-m,\) \(g(x) = x^{n}\)이라고 하면 정리 2에 의하여 \[g ' (x) = nx^{n-1}\] 이다. 또한 \(f(x) = 1/g(x)\)이므로 정리 6에 의하여 \[f ' (x) = -\frac{g ' (x)}{(g(x))^2} = -\frac{nx^{n-1}}{x^{2n}} = -nx^{-n-1} = mx^{m-1}\] 이다.
유리식은 문자, 상수, 사칙계산으로 이루어진 식이므로 지금까지 살펴본 미분 법칙을 이용하면 변수가 하나인 모든 유리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보기 2.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해보자. \[f(x) = \frac{x^2 -x+3}{2x-5} \quad \left(x\ne \frac{5}{2}\right)\] 나눗셈 미분 법칙과 다항함수의 미분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f ' (x) &= \frac{(2x-1)(2x-5) - (x^2-x+3)\times 2}{ (2x-5)^2} \\[6pt] &= \frac{4x^2 -12x +5 -2x^2 +2x -6}{(2x-5)^2} \\[6pt] &= \frac{2x^2 -10x -1}{4x^2 -20x +25} .\tag*{\(\square\)} \end{align}\]
분모가 단항식일 땐 보기 2와는 다른 방법으로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보기 3.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해보자. \[g(x) = \frac{x^2 -x+3}{2x} \quad (x \ne 0)\] 식을 변형하면 \[g(x) = \frac{x}{2} -2 + \frac{3}{2x}\] 이므로 \[g ' (x) = \frac{1}{2} - \frac{3}{2x^2} = \frac{x^2 -3}{2x^2}. \tag*{\(\square\)}\]